자본론 공부

김수행 교수가 들려주는 자본 이야기

김수행 지음

발행일 2014년 8월 25일
ISBN 9788971996164 03300
면수 284쪽
판형 국판 148x210mm
가격 13,000원 (전자책: 9,100원)
한 줄 소개
한국의 마르크스 경제학자를 대표하는 김수행 교수의 『자본론』 특강
주요 내용

한국 최고의 마르크스 경제학자 김수행 교수에게 듣는

『자본론』 특강

『자본론 공부』는 한국의 마르크스 경제학자를 대표하는 김수행 교수의 『자본론』 특강이다. 김수행 교수의 대중강연을 토대로 구성된 이 책은 방대한 분량의 『자본론』을 한 권의 책에 잘 정리했다.

그렇다고 이 책이 단순히 『자본론』을 요약하고 해설한 책은 아니다. 도표와 그림을 이용해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한편, 원전 『자본론』의 중요한 구절들을 소개함으로써 원전을 굳이 읽지 않아도 마르크스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한국 사회의 문제와 세계 문제를 『자본론』의 이론에 대입해 봄으로써,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150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현재에도 유용한 책임을 밝혔다.

김수행 교수는 이 책에서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사회를 어떻게 찬양했고 어떻게 비판했는가를 이야기한다. 동시에 “미래 사회의 태아를 자본주의가 잉태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에 주목할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자본론』을 읽어야 지금의 현실을 올바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사회를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고의 석학에게 듣는 가장 쉬운 『자본론』 특강, 『자본론 공부』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어렵습니다. 원전만 놓고 보면 무슨 소릴 하는지 당최 알 길이 없습니다. 이렇게 어렵지만 사람들은 『자본론』을 늘 이야기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책이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이 『자본론』을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로 꼽히는 김수행 교수가 전체 10강의 커리큘럼으로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 『자본론 공부』입니다.

김수행 교수는 1989년에 한국 최초로 『자본론』을 완역했습니다. 그 당시 김 교수는 ‘잡아갈 테면 잡아가라!’는 마음으로 작심하고 번역했다고 합니다. 이제 이 책은 제3개역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다 쉬운 우리말 번역을 위해 이오덕 선생의 『우리 글 바로 쓰기』를 독파했다고 합니다. 노학자의 열정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한겨울 추위 속에서 강의가 시작됐는데, 첫 강의부터 2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몰려 대성황을 이뤘습니다. 중간 뒤풀이에는 신청을 받아 참석 인원수를 제한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이후로도 한결같이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10강까지 자리를 채웠습니다. 한겨울부터 초봄까지 이어진 이 특강에는 특히 직장을 마치고 온 이들이 많았으며, 이들의 학구열은 그 누구보다도 뜨거웠습니다. (이 특강과 관련해서는 저자가 이 책 서문에서 자세히 밝혔습니다.)

김 교수는 방대한 분량의 『자본론』을 아주 쉽게 설명했습니다. 도표와 그림을 통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과 세계 경제의 상황을 대입해 고전을 현재의 시간대로 끌어올리기도 했습니다.

책으로 집필하는 과정에서는 도표와 그림뿐만 아니라 『자본론』의 중요한 구절들도 곳곳에 소개하면서 한층 더 친절하고 쉬운 책으로 거듭났습니다. 또한 현재의 한국 사회와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들어 그 문제점을 신랄하게 비판했습니다. 이 책 『자본론 공부』를 통해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150년 전의 고전이 아닌, 현재를 이야기하는 책이 되었습니다.

이 책의 출간을 계기로 다시 한 번 『자본론』 붐이 일었으면 합니다. 『자본론』을 읽는다는 것은 바로 이곳, 내가 밟고 사는 이 사회의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모습을 생각한다는 의미와 같기 때문입니다.

 

 

『자본론』 그리고 김수행 교수

 

최근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이 큰 화두로 떠오르면서, 한국 사회에서도 자본과 『자본론』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이 회자되었습니다. 엄밀하게 말해 피케티의 책은 ‘자본론’은 아닙니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한 소득분배 문제를 논함으로써, 다시 한 번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가 된 책임은 분명합니다.

현재 케임브리지 대학에 재직 중인 장하준 교수는 한국의 경제정책에 대해 거침없는 비판을 쏟아내는 인물로도 유명합니다. 최근에도 장 교수는 새로 구성된 최경환 경제팀의 경제정책에 대해 “손 안 대고 코풀려는 정책”이라며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피케티와 장하준 이 두 사람이 한국 사회에서 영향력을 끼치는 근저에는 어떤 공통점이 발견됩니다. 이 두 사람은 사회 전체 문제를 경제학을 통해 바라보는, 즉 정치경제학적 시각을 지니고 있습니다. 실제로 1870년대 이전까지는 경제학을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이라고 불렀습니다. 경제 영역을 사회의 한 영역으로 생각하면서 경제 영역과 기타 영역(정치, 법률, 사상, 문화 등) 사이의 관계까지를 경제학의 연구 과제로 생각한 것입니다.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1867년에 제1권 제1판 출간)의 부제도 ‘정치경제학 비판’입니다.

장하준 교수가 학부 때부터 스승으로 모시면서 많은 영향을 받은 인물이 김수행 교수입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 김수행 교수는비주류 경제학자로서 날카로운 시선으로 자본주의를 비판해온 분입니다. 비주류 경제학자인 이유는 따로 설명을 안 해도 아실 것입니다. 김수행 교수가 서울대를 퇴임할 때 사람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서울대 최초의 마르크스 경제학자이며, 최후의 마르크스 경제학자일 것이다.”

김 교수는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의 세계 경제 흐름을 세세히 설명하며, 오늘날 경제 상황을 ‘위기’가 아닌 ‘공황’으로 진단했습니다.(『세계대공황』, 돌베개, 2011.) 이 공황은 단순히 경기순환 모델 안에서의 한 국면이 아니라 ‘자본주의적 축적 양식의 변화를 포함하는, 드물고 구체적인 공황 국면’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제는 ‘자본주의 너머의 새로운 사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문득 김수행 교수가 꿈꾸는 ‘자본주의 너머의 새로운 사회’가 궁금해집니다. 그에 관한 단서를 이 책 『자본론 공부』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론』 읽기

 

『자본론』 특강 첫 수업에서 김수행 교수는 문득 우리에게 물었습니다.

“왜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사회를 이야기한 『자본론』이 금서일까요?”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문제였습니다. 이데올로기화된 우리의 머릿속 구조로는 ‘『자본론』=공산당’이기 때문입니다. 외국에서도 금서였지만,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1980년대 말까지 금서였습니다. 『자본론』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이데올로기적인 대응입니다. 150년 전 마르크스는 자신의 책이 이렇게 첨예화된 이데올로기적 대립물이 될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을 것입니다.

『자본론』은 자본주의 사회를 가장 원론적으로 정확하게 설명한 책입니다. 이데올로기적인 주장을 다룬 책이 아닙니다. 자본과 자본주의의 실체에 대해 오직 팩트만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의 생성과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아울러 이것의 소멸까지도 이야기합니다. 왜냐하면 마르크스 『자본론』의 큰 명제는 “인류 사회는 계속 변한다!”이기 때문입니다. 김 교수는 이 책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자본주의 사회가 영구불멸하리라고 말하는 사람이나, ‘현실 사회주의’ 사회(소련, 동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실제로 존재한 사회주의)의 몰락을 보면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류 역사는 끝이 난다고 말하는 사람은, 지금과 같은 세계적 대불황에서 대부분의 주민들이 비참하게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가 계속되기를 바라는 ‘나쁜’ 사람일 뿐입니다. 세상은 계속 변한다는 것이 진리입니다.

 

『자본론』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자본)의 운동 원리를 과학적으로 증명한 책입니다. 그래서 어쩌면 재미없고 지루한 책이라고 속단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혀 그렇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마르크스는 경제를 사회의 ‘토대’라고 봅니다. 그래서 경제 영역의 문제가 어떻게 정치·법률·문화 등 다른 모든 영역을 물들이고 있는가를 가르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마르크스는 “인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외치는데, 이 계급투쟁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이 경제 영역에서 서로 자기의 이익을 확대하기 위해 싸울 뿐 아니라, 이 경제 영역의 계급투쟁이 사회의 다른 영역으로 확산·전파되면서 기존 사회를 변화시킬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본주의 사회를 변화시키거나 변혁하려는 사람들은 누구나 『자본론』을 먼저 읽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본주의 사회를 변혁하려 할 때, 그 ‘과학적인’ 지식을 『자본론』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국민의 대다수가 지금의 사회 체제가 싫다고 하면, 그 사회 체제를 ‘깨끗한 선거’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 권력자들이 항상 ‘겉으로이긴 하지만’ 강조하는 ‘민주주의 사회’입니다. 그리고 어떤 새로운 사회를 만들 것인가를 국민들이 모여서 자유롭게 연구하고 토론해야 모두에게 더 나은 사회 체제를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민주주의적 방식으로 더 나은 사회 체제를 연구하고 토론하는 모든 세력을 감옥에 넣어 버리면, 이 사회는 항상 박정희 식·박근혜 식 독재 체제와 독점 재벌의 세습적 수탈 체제로 남아 있을 것입니다.

 

 

『자본론』, 고전으로 바라보고 미래를 예측한다!(이 책의 구성)

 

이 책은 방대한 『자본론』 1~3권의 내용을 단순히 요약한 것이 아닙니다.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사회를 어떻게 비판했고 어떻게 찬양했는가를 구체적으로 이야기합니다. 다시 말해 이 책은 “미래 사회의 태아를 자본주의가 잉태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에 주목할 것을 강조합니다. 이렇게 해야만 지금의 현실을 올바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래를 바라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전체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에 들어가기 전에 ‘『자본론』에 대하여’를 배치해 『자본론』의 역사 및 마르크스와 엥겔스 등에 관한 모든 것을 정리했습니다.

 

  • 1장부터 5장까지가 『자본론』 1권에 대한 내용으로 산업자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상품→화폐→자본의 발달, 필요노동과 잉여노동의 차이, 자본과 임금노동의 관계, ‘자본주의의 발달이 어떤 새로운 사회를 잉태하는가?’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실제 『자본론』에서도 1권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마르크스 생전에 본인이 직접 출간한 책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도 전체 본문의 반이 『자본론』 1권을 다루고 있습니다.
  • 6장과 7장은 『자본론』 2권에 해당합니다. 1권이 ‘자본의 생산과정’을 이야기했다면, 2권에서는 ‘자본의 유통과정’을 이야기합니다. 1권에서 다룬 주제가 ‘자본이 어떻게 잉여가치를 생산하는가’, 그리고 ‘자본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라면, 2권은 ‘자본이 가치를 증식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운동하는가’, 그리고 ‘자본이 생산한 상품들은 어떻게 팔리는가’를 주로 다룹니다.
  • 8장부터 10장까지는 『자본론』 3권에 해당합니다. 3권의 제목은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입니다. 3권에서는 산업자본가들 사이의 경쟁, 상업자본과 상업이윤, 금융적 자본과 신용·이자·주식, 그리고 토지소유와 지대 따위를 고찰함으로써 자본주의 경제 전체를 다룹니다.

 

김수행 교수는 『자본론』 강의를 하면서 특유의 화법으로 이런 말을 수강생들에게 던졌습니다.

 

자본주의가 어떻게 망할지 알아야 해. 사람들은 자본가가 없으면 사회가 어떻게 될까 걱정하지만, 보라구! 협동조합에는 자본가가 없어. 노예들이 주인 없이도 살 수 있다고 자각하면 해방된단 말이야. 마르크스는 자본가 없이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꾸려 나가는 노동협동조합을 사회모델로 채택해야 한다고 생각했어. 협동조합을 하는 사람이 정권을 잡고, 의회에서 주주들 모두 주식 내놔라 망치 탕탕 치는…! 이런 상상을 좀 해봐. 괜찮지 않겠어? 맨날 죽겠다는 생각만 하지 말고, 당신들 이런 상상들을 좀 하고 살란 말이야.

 

『자본론』은 단순한 고전이 아닙니다. 고전은 오래된 미래입니다. 『자본론』을 통해 현재 한국 사회의 모습을 진단하고, 앞으로 더 발전하고 더 나아질 한국 사회를 상상해보는 것도 좋은 독서가 될 것입니다.

차례

서문

『자본론』에 대하여

1 자본주의 사회는 사라지지 않을까?
인류의 경제와 사회는 계속 변화한다! / 『자본론』은 자본주의 사회가 경제적으로 어떻게 발전하는가를 이야기한다 / 사회를 올바로 파악하는 유물사관 / 경제 현상의 분석과 설명: 현상과 본질은 다르다

2 상품, 화폐, 자본
상품의 가치 / 화폐 / 노동력이라는 특수한 상품 / 잉여가치의 원천 / 잉여가치를 증가시키는 방법 1 – 노동시간을 연장한다 / 잉여가치를 증가시키는 방법 2 – 노동자의 생활비를 값싸게 한다

3 노동생산성의 향상과 자본의 축적
생산력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본 자본주의 /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협업 / 두 라면 회사 A와 B 사이의 경쟁은 ‘초과이윤’을 얻기 위한 것 / 기계 그 자체와 자본가가 기계를 사용하는 방법 / 자본의 축적

4 실업자의 형성과 자본-임금노동 관계의 유지
자본가는 실업자를 끊임없이 만들어 낸다 / 실업자는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지렛대 / 실업자 통계 / 실업자를 제거하는 방법

5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
『자본론』 1권의 마지막 장: 33장 「근대적 식민이론」 / 인류 사회의 발전 단계 / 자본주의 사회가 새로운 사회로 옮아가는 과정 /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

6 자본의 유통과 자본의 가치 증식
자본의 운동 형태 / 자본의 회전시간과 이윤율 / 고정자본과 유동자본

7 1년 동안 생산된 상품들은 누가 구매하는가?
상품이 제값에 팔리지 않는 경우 / 자본가들이 공급하는 1년간의 생산물은 누구에게 팔리는가? / 확대재생산을 위해서는 연간 생산물이 어떻게 판매되어야 할까?

8 평균이윤율의 형성과 이윤율의 저하·상승 경향
산업자본의 연간이윤율 공식 / 산업자본가들 사이의 경쟁과 평균이윤율의 형성 / 평균이윤율의 저하 경향과 상승 경향 / 이윤율의 저하·상승 경향과 공황

9 상업자본과 금융적 자본
역사적 분석과 논리적 분석 / 상업자본과 상업이윤 / 금융적 자본과 이자·배당·투기 이윤

10 토지소유가 낳는 지대
지대: 토지 사용료의 자본주의적 형태 / 차액지대 / 절대지대와 독점지대 / 토지 가격과 농업의 자본주의화

보론 『자본론』이 예견한 세계대불황

참고문헌 /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김수행 지음

1942~2015 / 일본 후쿠오카에서 태어나 해방과 함께 귀국한 뒤 대구에서 자랐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런던대학에서 『마르크스의 공황 이론』(Theories of Economic Crises: A Critical Appraisal of Some Japanese and European Reformulations)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 무역학과 부교수와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했으며, 퇴임 후 성공회대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대표적 마르크스 경제학자 김수행 교수는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 세 권 전체를 한국어로 최초 완역했다(1989~1990).

주요 저서로 『《자본론》 연구 1』, 『정치경제학원론』,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자본론》의 현대적 해석』, 『자본주의 경제의 위기와 공황』,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세계대공황』 등이 있다.

김수행의 다른 책들

편집자 100자평
"협동조합을 하는 사람이 정권을 잡고, 의회에서 주주들 모두 주식 내놔라 망치 탕탕 치는…! 이런 상상을 좀 해봐. 괜찮지 않겠어? 맨날 죽겠다는 생각만 하지 말고, 당신들 이런 상상들을 좀 하고 살란 말이야!"
독자 의견
번호 도서 제목 댓글 글쓴이 작성일
1 자본론공부 - 김수행지음/돌베개
조통 2015.2.13
전자책 정보
발행일 2014년 9월 5일
ISBN 9788971996294 | 가격 9,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