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베개 365

일 년 365일, 돌베개 안에서는 여러 가지 일이 일어납니다. 새로운 책이 태어나고, 손님도 오시고, 독자들과의 만남도 잦습니다. ‘돌베개 365’는 이런 나날의 일들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독자 여러분과 나누는 곳입니다.
『쇼스타코비치: 시대와 음악 사이에서』(2023. 3. 6) 출간

쇼스타코비치에 관한 증언을 모은 전기, 『쇼스타코비치: 시대와 음악 사이에서』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쇼스타코비치가 지닌 다양한 모습을 조명했으며 그와 관련된 여러 증언은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그의 삶을 재구성한다. 쇼스타코비치의 팬이라면 이 책을 통해 그의 삶과 그가 살았던 시대는 물론이고, 그가 음악에 감춰둔 사연도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3월 16일
『서평가의 독서법』(2023. 3. 13) 출간

비평 분야 퓰리처상을 수상한 문학비평가이자 서평가 미치코 가쿠타니의 본격 서평집 『서평가의 독서법: 분열과 고립의 시대의 책읽기』가 출간되었다.

2023년 3월 10일
『기죽지 마라 – 우리가 백기완이다!』(2023. 2. 6) 출간

백기완 선생 2주기 추모집 『기죽지 마라 – 우리가 백기완이다!』가 출간되었다. 전작 『백기완이 없는 거리에서』가 백기완 선생과 젊은 시절부터 함께하며 운동했던 동지와 친우들의 글이라면, 이 책은 현장에서 운동하는 이들이 선생을 추모하는 마음을 담은 글을 모았다.

*

*

백기완 선생님 2주기 추모일정

―“거꾸로 가는 시절, 그리운 백기완의 불호령!”

  1. 기자회견 2월 8일(수) 오후 2시 백기완노나메기재단

  2. 추도식 2월 11일(토) 오전 11시 마석 민주열사묘역

  3. 백기완기념관 공사 완료 비나리 마당 2월 15일(수) 오후 5시(백기완재단) * 기념관 정식 개관은 5월 예정

  4. 추모문화제 2월 15일(수) 저녁 6시 30분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5. 추모산문집 『기죽지 마라』 출간기념 이야기마당 3월 8일(수) 저녁 7시 백기완재단

2023년 2월 3일
『작은 목소리, 빛나는 책장』(2023. 1. 6) 출간

긴 시간 대형 서점에서 일하다 동네 책방을 열게 된 서점인 쓰지야마 요시오가 생각한 좋은 일, 좋은 삶에 대한 단상을 담은 에세이 『작은 목소리, 빛나는 책장: 도쿄 독립 서점 Title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자기만의 철학, 자기만의 속도로 삶과 서점을 일구어가는 저자가 전하는 “작은 목소리”의 아름다움이 펼쳐진다.

2023년 1월 5일
《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 임소연 저자 북토크

임소연북토크1 임소연북토크2 임소연북토크3 임소연북토크4 임소연북토크5

 

2022년 12월 22일 돌베개는 《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 저자 임소연 선생님과 함께 건대역 인덱스숍에서 북토크를 진행하였습니다.

진행을 맡은 북튜버 공백 님과 참여해 주신 독자님과 함께 성형, 과학 그리고 다른 몸을 가진 타인과 공존하기 위한 에티켓을 조근조근 말해 보는 따뜻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함께해 주신 독자님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23일
《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 임소연 저자, 조선일보 올해의 저자 선정

조선일보_올해의저자_임소연

조선일보가 2022년 12월 17일 ‘2022 올해의 저자’를 발표하며, 돌베개의 저자인 임소연 교수님과 신간 《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를 소개하였습니다.

조선일보는 7개의 키워드 중 ‘여자들’을 대표하는 저자로 임소연 교수를 선정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소개하였습니다.

난자 냉동·성형 미인 여자와 과학을 엮다

성형 기술 연구를 위해 성형외과 코디로 취직, 직접 양악 수술까지 받은 이야기를 담은 ‘나는 어떻게 성형 미인이 되었나’, 난자 냉동 등 과학기술 현장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검토한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 공저 ‘겸손한 목격자들’ ‘돌봄과 작업’, 공번역서 ‘바디 멀티플’…. 임소연(45) 동아대 기초교양대학 교수는 올 한 해 풍성한 열매를 거뒀다.

그의 글쓰기를 추동한 힘은 ‘여자들’. 일곱 살 딸을 둔 워킹맘으로 “양육이든 연구든 타협만이 살길”이라고 결론 내렸다는 그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더 쓰여야 한다 생각하며 썼다”고 했다.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는 “임소연은 페미니즘과 과학의 교차로에서 몸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오류와 편견에 빠져 있는지 탐구한다”며 추천했다.

조선일보 기사 전문 읽기

2022년 12월 20일
《겨울나무》 출간 행사, 저자 김태영 선생님과 함께 한 올림픽공원 답사

겨울나무답사1 겨울나무답사2 겨울나무답사3

2022년 12월 17일. 한국 최초로 겨울나무의 성장을 담은 책 《겨울나무》 출간 기념 올림픽공원 답사가 있었습니다. 강의 시작 전 김태영 선생님은 답사 장소를 올림픽공원으로 정한 이유를 설명해 주셨습니다.
올림픽공원은 모든 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88올림픽을 준비하며 만들어진 공원이기에 당시 정부는 한국에 찾아오는 외국인에게 한국의 나무를 소개하기 위해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지의 대표적인 나무를 올림픽공원에 심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중부지방에 없어야 할 나무를 포함한 다양한 나무들이 올림픽공원에 살게 되었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다양한 나무를 관찰하고 싶은 분이라면 올림픽공원을 방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김태영 선생님은 겨울나무를 살펴야 나무의 성장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잎을 다 떨구고 다음을 준비하고 있는 겨울나무의 모습을 보면 나가 성장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떤 전력을 세우는지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나무를 보는 눈도 깊어지지만 주어진 상황을 극복하며 살아야 하는 인생을 이해하는 눈도 같이 깊어진다고 합니다.
나무를 사랑하고 자연을 통해 인생을 배우고 싶은 분이라면 김태영 선생님이 참여한 책 《겨울나무》를 만나보시면 좋겠습니다.
추운 날 함께해 주신 독자님 감사드립니다.
유시민 작가님, 《거꾸로 읽는 세계사》 예스24 올해의책 시상식

318600369_3363096580612343_2238263190416606909_n 319185608_714760240069436_1574427067398596861_n

12월 15일, 유시민 작가님의 《거꾸로 읽는 세계사》 예스24 올해의 책 시상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유시민 작가님을 지지해 주시고 작가님의 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16일
유시민 작가의 《거꾸로 읽는 세계사》 예스24 2022년 올해의 책 선정

예스24-올해의-책-3위-거꾸로-읽는-세계사

예스24 2022년 올해의 책에 유시민 작가의 『거꾸로 읽는 세계사』가 선정되었다. 올해의 책 투표에 참여한 독자는 총 192,362명이며, 이중 15,655명이 『거꾸로 읽는 세계사』에 투표하여 3위에 올랐다. 40대로부터 가장 많은 표를 받았으며, 50대 이상에서는 1위를 하였다.

2022년 12월 1일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2022. 11. 21) 출간

무엇이 우리의 쉼을 빼앗고 어떻게 쉼을 되찾을지를 사유하는, 우리 시대의 비판적 인문학이자 성찰적 에세이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쉼이 있는 삶을 위하여』(이승원 지음)가 11월 21일 출간되었다.

2022년 11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