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베개 365

일 년 365일, 돌베개 안에서는 여러 가지 일이 일어납니다. 새로운 책이 태어나고, 손님도 오시고, 독자들과의 만남도 잦습니다. ‘돌베개 365’는 이런 나날의 일들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독자 여러분과 나누는 곳입니다.
『디아스포라 기행: 추방당한 자의 시선』(2023. 9. 20) 개정판 출간

소수자의 시선으로 새로운 희망과 연대의 가능성을 탐구한 우리 시대의 명저 『디아스포라 기행』이 17년 만에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초판이 출간된 이후로도 세계 곳곳에서 끊이지 않은 전쟁과 폭력, 지금 이 순간에도 나날이 고조되는 무력(武力)의 위협 속에 우리가 맞닥뜨린 곤경을 엄중히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한 「개정판을 펴내며」가 수록되어 더욱 뜻깊다. 경계에서 사유하는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여정을 통해, 평화가 위협받는 세계에서 지금 다시, 서경식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성찰케 한다.

2023년 9월 18일
『속눈썹, 혹은 잃어버린 잠을 찾는 방법』(2023. 9. 7) 출간

한국 청소년문학을 대표하는 감수성, 최상희 작가의 첫 연작소설 『속눈썹, 혹은 잃어버린 잠을 찾는 방법』이 출간되었다. 작고 상냥한 세계에 귀 기울이는 도서부 세 친구의 이야기를 담았다. 청소년 인물의 감성을 섬세하게 그려내는 한편으로, 오늘의 학교 현장이 처한 위기들을 외면하지 않고 단호한 목소리를 내는 작가의 시선이 미덥다. 문학평론가 김지은, 책방 사춘기 대표 유지현이 자신 있게 추천했다. 우정과 성장, 용기와 연대, 좋은 청소년문학이 갖추어야 할 거의 모든 것이 담긴 소설이다.

2023년 9월 8일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출간 기념 유시민X김상욱 북토크 성황리에 종료

유시민X김상욱 북토크 단체사진2

 

2023년 9월 1일 돌베개는 유시민 작가님의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출간 기념 행사로 유시민X김상욱 알·쓸·과·공(알고 보면 쓸모 있는 과학 공부) 북토크를 진행하였습니다.

유시민 작가님과 김상욱 박사님의 오랜 친분이 빛나는 이번 행사에는 약 140여 명의 독자님이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무편집본 북토크 실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유시민 X 김상욱ㅣ알고 보면 쓸모 있는 과학 공부 이야기 – YouTube

2023년 9월 5일 오디오 상황 등을 개선한 편집본을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9월 5일 돌베개 유튜브(돌베개 – YouTube)로 접속하신 후 영상을 확인해 주시면 더욱 좋은 화질 및 오디오로 두 작가님의 대담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함께해 주신 많은 독자님께 다시 감사드립니다.

돌베개 올림.

2023년 9월 4일
제7회 ‘서점인이 뽑은 올해의 책·작가’ 이승원,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 선정

서점의날-올해의책작가-카드뉴스

 

제7회 ‘서점인이 뽑은 올해의 책·작가’로 이승원과 그의 저서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가 선정되었습니다. 올해의 책과 작가를 선정한 한국서점조합연합회는 아래와 같이 선정 사유를 전했습니다.

서점인이 뽑은 올해의 책 인문/교양 부문에는 남종영의 『동물권력』(북트리거), 이길보라의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창비), 이승원의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돌베개)가 최종 검토 대상이 되었다. 뚜렷한 개성을 가진 각각의 책은 동물권, 장애학, 참된 의미의 휴식 등과 결부된 한국 사회의 주요 현안을 다루고 있다. 심사위원들은 어느 책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더라도 별다른 이의가 없다는 데 합의를 보았다. 결국 이승원의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돌베개)가 선정됐다. 쉼의 부재는 현재 이뤄지는 불안과 짝지어진 노동의 문제를 같이 환기시킨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쉼은 그 자체로만 사유 가능하지 않다. 쉼을 제대로 영위할 수 없게 만드는 사회 구조적 요인을 들여다봐야 하는데, 이 책은 그 점을 명확하게 짚어낸다. 더불어 문제 제기에 그치지 않고, 대안을 고민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23년 8월 29일
『의료 비즈니스의 시대』(2023. 8. 7) 출간

한국 의료 시스템의 문제를 진단하고 더 나은 체계를 고민하는 『의료 비즈니스의 시대』가 8월 7일 출간되었다. 저자는 의사로서, 교수로서, 의료 정책 연구자로서 느낀 바를 거침없이 풀어놓는다. 현재 한국의 의료 시스템은 여러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불신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믿을 수 있는 의료 체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8월 8일
유시민,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10만 부를 기념하는 촛불을 밝히다.

10만부-파티1

10만부-파티2

돌베개는 23년 8월 2일 유시민 작가님을 모시고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10만 부 판매를 기념하는 촛불을 밝혔습니다.
유시민 작가님의 신작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가 출간되고 한 달 반 정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짧은 시간 동안 폭우를 동반한 장마가 지나갔고, 더위와 함께 바쁜 휴가철이 찾아왔습니다.
어쩌면 1년 중 가장 바쁜 기간일지도 모르는 6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시간을 내어 유시민 작가님의 책을 읽어 주신 모든 독자님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유시민 작가님을 모시고 작가님에게 작은 선물을 드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안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독자님의 기대에 보답하고자 더 많은 분들이 유시민 작가님의 진심과 통찰을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독자님.
_돌베개 올림.
2023년 8월 3일
[취소 및 잠정 연기 안내] 8월 2일, 유시민 X 김상욱 알·쓸·과·공 북토크

공지

[공지]
8월 2일, 알라딘 단독 ‘유시민X김상욱 북토크’ 취소 및 잠정 연기 안내

8월 2일 알라딘 단독 ‘유시민X김상욱 북토크’ 행사에 신청해 주신 많은 독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지난주 참여자 선정 안내 문자까지 발송하여 드렸으나,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인하여 최소 및 잠정 연기 안내를 드립니다.

8월 2일 수요일에 예정되어 있던 ‘유시민X김상욱 북토크’는 현재 진행이 불가하게 된 점 다시 안내하여 드립니다. 이점 고개 숙여 양해 구합니다.

돌베개에서는 출연진 및 대관처 일정을 다시 조율하여 가까운 시일에 행사 일정을 세워 다시 공지하여 드리겠습니다.

추후 다시 준비될 ‘유시민X김상욱 북토크’에는 알라딘 최종 당첨자분들을 우선적으로 초대할 예정입니다.

두 작가님의 북토크를 기대해 주신 많은 분들께 다시 양해를 구하며, 가까운 시일에 곧 다시 연락드리겠습니다.

돌베개 올림

2023년 7월 31일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2023. 7. 24) 출간

변화의 시기이자 현재의 한국 사회를 주조한 1990년대 지성사를 문예지ㆍ학술지ㆍ계간지ㆍ대중문화지 등 잡지 형태로 발간된 문헌을 통해 그려봄으로써, 2000년대 이후 지금 시대로 이어지는 정신사의 의미와 향방을 가늠하는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가 7월 24일 출간되었다. 저자는 제주대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로 재직중인 사회학자 윤여일이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노무현입니다』평산책방에서 5월 25일 ~ 6월 24일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책 1위

359137582_820018269358771_5610378641975515724_n

평산책방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하기

돌베개에서 출간한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노무현입니다』가 평산책방의 지난 한 달(5월 25일 ~ 6월 24일) 동안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책 1위(문재인 전 대통령님의 추천도서 및 저서를 제외)에 선정되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목소리를 기억해 주신 독자님께 감사드리며,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목소리를 많은 독자에게 소개하여 주신 평산책방 관계자님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노무현입니다』는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명연설을 모은 책으로, 한 권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뜻을 기억하고자 할 때 참고하기 좋은 책입니다.

2023년 7월 14일
유시민,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첫 북토크 성황리에 종료

KakaoTalk_20230714_160014386

돌베개는 지난 23년 7월 11일 영등포 타임스퀘어 CGV 6관에서 총 200명의 독자를 모시고, 유시민 작가님의 신작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출간기념 첫 북토크를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폭우가 쏟아지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모든 좌석을 채워주신 독자님께 감사드리며, 독자님을 위해 긴 시간 사인회를 진행한 유시민 작가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KakaoTalk_20230714_160013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