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고 더불어

신영복과의 대화

발행일 2017년 1월 2일
ISBN 9788971997864 03810
면수 354쪽
판형 신국판 152x225mm, 소프트커버
가격 15,000원
한 줄 소개
신영복 선생이 생전에 행한 대담들 중 주요한 10개의 대담을 수록한 대담집이다.
주요 내용

신영복 1주기,

남기신 말과 글로 다시 당신을 만납니다.

 

_ 작년 새해 벽두에 들려온 신영복 선생(1941~2016)의 별세 소식은 많은 사람들을 아프게 했다. 20여 년의 수형 생활을 보상하듯 건강히 오래 사시길 기원했지만, 속절없이 우리 곁을 그렇게 떠나셨다. 2015년에 출간된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가 시참(詩讖)이 된 듯해서 더욱 마음이 아팠다. 당신은 대학 교수를 그만두니 마지막 강의가 맞다 하셨지만, 여러 사람들이 그 제목에 반대했다. 『담론』 이후에 나온 『더불어숲』과 『처음처럼』은 모두 개정증보판이니, 『담론』이 선생의 마지막 책이 된 셈이다. 그렇게 허망하게 이별하고 어느덧 1년이 흘렀다. 세월은 유수와 같다고 하지만 선생은 강물과도 같은 세월에 한 점을 찍어 1년으로 나누는 것의 무의미함에 대해 여러 번 이야기하셨다. 그러나 살아 있는 우리는 미련스레 선생의 1주기를 추모하며 남기신 말과 글을 모아 두 권의 책으로 엮었다.

_ 『냇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신영복 유고』 : 선생이 신문과 잡지 등에 발표한 글과 강연록 중에서 생전에 책으로 묶이지 않은 글들을 모은 유고집이다. 본문 수록 작품 중 「가을」부터 「성(聖)의 개념」까지 7편의 글은 신영복 선생이 1968년 구속되기 전에 쓴 글로, 이 책에서는 1부 안에서 ‘미발표 유고’로 따로 묶었다. 20대 청년 시절 신영복의 자취를 보여주는 글로, 이 책을 엮으며 유족으로부터 입수해 처음 공개한다.

_ 『손잡고 더불어-신영복과의 대화』 : 선생이 20년 20일의 수형 생활을 마치고 출소한 이듬해인 1989년부터 타계하기 직전인 2015년까지 나눈 대담 중 선생의 사상적 편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대담 10편을 가려 뽑아 수록한 대담집이다.

 

 

시대를 정직하게 품었던 스승 신영복,

당신 속에 체화(體化)된 시대의 양(量)을 생각합니다

 

“한 사람의 일생이 정직한가 정직하지 않은가를 준별하는 기준은 그 사람의 일생에 담겨 있는 시대의 양(量)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대의 아픔을 비켜 간 삶을 정직한 삶이라고 할 수 없으며 더구나 민족의 고통을 역이용하여 자신을 높여 간 삶을 정직하다고 할 수 없음은 물론입니다.”

_「개인의 팔자, 민족의 팔자」 중에서

 

시대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품고 살아간 신영복 선생의 한평생. 1941년에 태어나 2016년 향년 76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의 삶은 오롯이 한국 근현대사의 격변기와 함께한다. 선생은 대학 2학년에 4․19를 맞고 3학년에 5․16을 맞았다. 격변하는 시대 안에서 1968년 선생의 나이 스물여덟에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되어 20년 20일의 수형 생활을 겪어야 했다. 1988년 광복절 특사로 출소한 뒤, 선생은 감옥의 깊은 동굴에서 길어 올린 깨달음의 언어로 한국 현대사의 변화 속에서 남은 20여 년의 생을 보내셨다. 그의 죽음마저도 어쩌면 시대의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그가 말년에 얻은 병 역시 오랜 수감 생활에서 기인한 것일 거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지주 집안의 외동딸이었어요. 아버님은 대구사범학교를 나오셨으니까 그래도 자작농 정도는 되셨겠지요. 집안으로만 보자면 저는 좌익 사건에 연루될 만한 이유가 전혀 없었어요. 때문에 독방에 갇혀서 ‘내가 왜 여기에 앉아 있는가?’라는 생각을 여러 번 했어요. 그러한 고민의 결론은, 이념 때문이기보다는 양심의 문제였다는 것이었어요. 4·19와 5·16 사이에 목격했던 우리 사회의 억압 구조에 눈뜨게 되기도 하고, 그러한 엄청난 억압과 부조리에 대한 청년다운 감수성 때문에 감옥에 앉아 있다는 생각을 한 거죠.”_2007년, 지강유철과의 인터뷰 중에서

 

‘좌파 지식인’으로 불린 신영복 선생은 정작 자신의 신산한 삶이 ‘이념’ 때문이 아닌 ‘양심’에 기인했다고 말한다. 이념보다 양심, 속도보다 여백, 존재보다 관계, ‘이론은 좌경적으로 실천은 우경적으로’ 살다 간 신영복. 양심적으로 시대를 살아간 정직한 어른 신영복의 말과 글은 시대의 어른을 그리워하는 모든 이들에게 귀감이 된다. 생전에 선생은 한사코 스승 되길 거절하셨지만, 1주기가 돌아와 다시 선생을 찾는 여러 목소리 속에서 선생은 이미 시대의 사표(師表)가 되셨다. 선생의 한평생에 담긴 시대의 양은 가늠조차 하기 어렵지만, 선생의 정직한 삶을 따라 사는 것만은 후인들의 몫이 아닐까 한다.

 

 

신영복 사상으로 한 걸음 더!

『손잡고 더불어―신영복과의 대화』

 

_ 이 책은 신영복 선생이 생전에 행한 대담들을 모아 놓은 대담집이다. 여기에는 선생이 오랜 영어(囹圄)의 생활에서 풀려난 직후인 1989년부터 타계하기 직전인 2015년까지 25년 동안 김정수, 정운영, 홍윤기, 김명인, 이대근, 탁현민, 지강유철, 정재승, 이진순, 김영철 등 가톨릭 사제, 경제학자, 철학자, 문학평론가, 언론인, 문화기획자, 과학자 등의 인터뷰어들과 나눈 이야기들이 연대순으로 실려 있다.

 

_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신영복 선생의 정제된 텍스트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그의 숨겨 왔던, 혹은 숨어 있던 면모들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언론인이자 경제학자인 고(故) 정운영(1944~2005)과의 1992년 대담에서는 본인 스스로 거의 밝히지 않았던 유년기와 성장기, 또 대학 재학 시절과 통혁당 연루 시기의 깨알 같은 전기적 사실들이 흥미롭게 펼쳐지고 있다. 아마도 대학 시절 선후배 사이라는 스스럼없는 편안한 분위기가 이 대담을 더욱 흥미롭게 이끌어 간 게 아닌가 한다.

 

정운영: 60년대의 서울상대 출신 가운데 지금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여럿입니다. 혹시 김근태나 장명국에 대해 기억에 남는 일이라도 있습니까?

신영복: 김근태와 장명국은 65학번으로 동기였다고 기억됩니다. 장명국은 1~2학년 때부터 자신의 이념적 입장을 비교적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구속되면서 조사를 받는 등 고생도 하고, 그 후로도 그 일 때문에 여러 가지 애로가 많았으리라 생각됩니다. 김근태는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을 빌려 읽을 정도로 매우 학구적이었고, 문제의 핵심에 다가가는 능력이 돋보였지요. 제가 세미나를 지도하던 당시는 두 사람 모두 1~2학년이었기 때문에 특별한 활동을 개시하기 이전이었습니다. 그때의 세미나는 근대경제사, 즉 자본주의 성립사를 주제로 하였습니다만 토론 과정에서는 헤겔을 비롯하여 고리키에서부터 쇼스타코비치에 이르기까지 광범한 문제들을 다루었습니다. 대담자인 정운영 교수도 학번은 다르지만 그중의 한사람이었다고 생각되는데요.

 

_ 아울러, 홍윤기, 김명인 등과의 대담에서는 “처음처럼”이나 “더불어숲”처럼 부드럽고 유연한 아포리즘으로 알려진 대중적 에세이스트 신영복이 아니라, 여전히 좌파 경제학자이자 변혁운동가로서의 지적 유산과 그로부터 기인한 현실에 대한 과학적 통찰력에 기초한,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현세계의 정세와 분단 한반도의 현실과 전망, 대안 체제를 모색하는 현실 운동의 원칙과 방향에 대한 깊고도 냉철한 진단이 펼쳐지고 있다. 이 책의 대담들을 통해 에세이스트 신영복이 아닌 사상가 신영복의 진면목을 만날 수 있다.

 

_ 선생의 마지막 대담은 2015년 10월 26일 김영철 서울시평생교육원 원장과의 대담이다. 이때 인터뷰어인 김영철 원장이 선생께 마지막 질문으로 이렇게 묻는다. “글씨는 어떤 태도와 자세로 써야 합니까?”

 

“잘 쓰려고 해선 안 됩니다. ‘무법불가, 유법불가’이지요. 글씨 쓰는 법이 없어도 안 되고, 글씨 쓰는 법이 있어도 안 됩니다. 교육과 학습의 이상적 형태도 바로 이런 자유로움과 다양성입니다.”

 

선생의 삶은 글씨에 대해 이야기한 이 마지막 답변과 닮았다. 선생은 좌우라는 인간이 만든 어리석은 사상적 경계에 얽매이지 않고 중심의 교조주의를 벗어난 변방의 사상가로서 자유롭게 살다 가셨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 경계의 언저리를 맴돌며 선생을 평가하려는 우를 범하고 있는 건 아닌지 스스로 살펴봐야 하지 않을까.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길게 보면서, 먼 길을 함께 걸었으면 합니다.

저도 그 길에 동행할 것을 약속드리지요.” _마지막 인터뷰 중에서

차례

대담집 발간에 부쳐 / 신영복 사상으로 한 걸음 더 / 김명인

삶과 종교 / 대담: 김정수, 1989년
모든 변혁 운동의 뿌리는 그 사회의 모순 구조 속에 있다 / 대담: 정운영, 1992년
수많은 현재, 미완의 역사 — 희망의 맥박을 짚으며 / 대담: 홍윤기, 1998년
이라크 전쟁 이후의 세계와 한반도발(發) 대안의 모색 / 대담: 김명인, 2003년
가위와 바위, 그리고 보가 있는 사회를 꿈꿉니다 / 대담: 이대근, 2006년
가벼움에 내용이 없으면 지루함이 됩니다 / 대담: 탁현민, 2007년
실천이 곧 우리의 삶입니다 / 대담: 지강유철, 2007년
여럿이 함께하면 길은 뒤에 생겨난다 / 대담: 정재승, 2011년
소소한 기쁨이 때론 큰 아픔을 견디게 해줘요 / 대담: 이진순, 2015년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 / 대담: 김영철, 2015년

편집자 100자평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신영복 선생의 정제된 텍스트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그의 숨겨 왔던, 혹은 숨어 있던 면모들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