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발행일 | 2006년 6월 19일 |
---|---|
ISBN | 8971992417 03910 |
면수 | 816쪽 |
판형 | 국판 148x210mm |
가격 | 38,000원 |
분류 | 역사·인물 단행본 |
수상∙선정 | 2006 한국일보 한국출판문화상 저술상 학술 부문 2007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
국내 역사학자가 쓴 최초의 본격적인 한국전쟁 연구서인 이 책은, 역사적 사료를 따라 한국전쟁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전통주의, 수정주의 혹은 신전통주의, 후기수정주의 등의 이론적 배경보다 한국전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역사적 진실을 추구하는 데 기본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그 과정에서 한국전쟁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비판적으로 검토되며, 전쟁사 연구의 기본에 해당하는 1948년 이래 남북한군 병력 현황, 1948~50년 38선 충돌 현황 등이 정리된다.
대부분의 한국전쟁 연구자들이 전쟁의 결정 시점, 결정 주체, 스탈린·김일성의 관계 등에 집중한 나머지 1949년 자료를 정확히 해독·활용하지 못했다. 반면 이 책은 구소련 문서 중 1949년 38선 충돌 및 남북관계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폭넓게 활용했다. 또한 공식 전사류의 서술과 구소련 문서 등과 비교함으로써, 1949년 일어났던 38선 충돌 사태의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세밀한 사건의 인과관계와 전말을 복원하고 있다.
머리말 | 7
I부 서장
1장 한국전쟁사의 역사 | 25
1. 정치적 논쟁과 공식 전쟁사 | 25
2. 여러 가설의 제출과 미궁 | 34
3. 미국 자료의 공개와 수정주의의 확산 | 42
4. 러시아 자료의 공개와 새로운 연구 경향 | 51
2장 전쟁의 개전·성격·형성 | 69
1. 개전을 둘러싼 논쟁의 해결 | 69
2. 전쟁의 성격: 내쟁 같은 국제전쟁·외전 같은 동족전쟁 | 75
3. 전쟁의 형성 | 86
3장 구성·연구 방법·자료 | 91
1. 연구의 구성 | 91
2. 연구 방법·연구 자료 | 104
– 연구 방법 | 104
– 미국 문서 | 105
– 구소련 문서 | 107
– 북한 노획문서 | 109
– 기타 | 112
– 지도 | 112
Ⅱ부 미소의 38선 정책과 남북갈등의 기원
1장 38선 분할과 미소의 대한정책 | 119
1. 38선 획정의 국제정치 | 119
2. 고위급 정책 결정: 군사점령·군정 | 127
3. 정책의 실현: 군정의 실시 | 132
4. 38선의 존속과 철폐 문제 | 139
2장 미소의 진주와 38선의 군사경계선화 | 143
1. 첫번째 만남: 1945년 9월 11일 개성 | 143
2. 미소의 연락체제 구축 | 147
3. 38선 경비의 강화 | 151
4. 38선 통행 금지와 군사경계선화 | 158
3장 미소의 38선 대책과 합동조사 | 165
1. 미군정의 38선 중립지대화 방안과 조사 구상 | 165
2. 미군정의 38선 철폐공세와 행정단위 조정안 | 168
– 38선 철폐공세 | 168
– 38선의 행정단위 조정안 | 171
3. 제1차 미소 38선 합동조사(1946. 5) | 174
4. 제2차 미소 38선 합동조사(1947. 4) | 180
4장 1945∼48년 38선 충돌의 특징과 성격 | 188
1. 1945∼47년 : 점진적 고양 | 192
– 1945년 | 193
– 1946년 | 193
– 1947년 | 194
– 전력 문제 | 198
– 구암·예의저수지(연백저수지) | 200
2. 1948년 : 남북갈등의 격화와 전환 | 202
– 1948년의 특징 | 202
– 원대리·구만리사건 | 208
– 옹진 은동리저수지 사건 | 211
– 미군정의 대책 | 213
5장 미소의 대한정책·점령정책과 그 유산 | 217
1. 미소의 대한정책과 국제 냉전 | 217
2. 미소 점령이 남긴 유산 | 221
Ⅲ부 남북의 정치군사적 갈등과 38선 충돌
1장 정부수립 후 남북한의 적개심과 적대적 동화 | 227
1. 1948년의 동력학과 남북의 적대의식 | 227
– 과도기로서의 1948년 | 227
– 폭풍: 여수 주둔 14연대 반란 | 232
– 1948년의 동력학 | 236
2. 남북한의 적대적 동화와 38선 충돌 | 240
– 최고 지휘부의 적개심 | 240
– 군사 지도자들의 오해와 증오 | 248
2장 무장 충돌의 발화와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 구상 1949. 2∼1949. 4 | 258
1. 1949년 38선 충돌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 | 258
2. 무장 충돌의 발화와 정치적 배경 | 268
– 진지 구축과 주요 충돌 지점 | 270
– 유엔한국위원단의 방한과 기사문리·고산봉전투 | 276
– ‘해주의거’ 사건 | 282
3. 공산주의 삼각동맹과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전’ 구상 | 290
– 스탈린의 결정: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전’과 조소 군사원조협정 | 292
– 중공의 동의와 한인부대의 입북 | 298
– 북한의 병력·무장 강화 | 301
3장 연대급 전투의 전개와 남한의 7월 공세 1949. 5∼1949. 7 | 304
1. 남북한 병력 규모의 변화 | 305
– 한국군의 병력 규모 | 306
– 북한군의 병력 규모 | 315
2. 연대급 전투의 전개(개성─옹진) | 333
– 5·4 개성 송악산 292고지전투와 38선 충돌의 확대 | 333
– 옹진 제1차 충돌(5. 21∼6. 27)과 한국군의 옹진 강화 | 350
3. 한국군의 7월 공세 | 363
– 위기와 기회의 6월 | 363
– 호림부대의 대북 침투 | 370
– 양양돌입사건(제2차 고산봉전투) | 375
– 개성 송악산 488고지전투(7. 20∼8. 3) | 379
4. 한국군의 7월 대북공격설 재검토 | 381
– 구소련 문서에 나타난 ‘북침’ 가능성 보고 | 383
– 미국 자료에 나타난 남한의 대북공격 우려 | 387
– 북한의 방어 계획과 군사력의 증강 | 391
– 7월 대북공격설의 파급 효과 | 396
4장 북한의 옹진 점령 계획과 9월 공세 1949. 8∼1949. 10 | 404
1. 북한의 공격 노선 전환과 옹진 점령 계획 | 405
– 옹진 제2차 충돌과 북한의 옹진 점령 시도 | 405
– 8월의 북한: 공격 노선으로 급격히 전환 | 410
2. 9월의 소련: 대남공격 가능성 검토와 노선 전환 | 419
3. 북한의 9월 공세설 | 434
4. 은파산전투(옹진 3차 충돌)와 연대급 38선 충돌의 종식 | 441
5장 소규모 충돌의 지속과 북한의 공격형 군사력 완비 1949. 11∼1950. 6 | 450
1. 정찰 과정에서의 소규모 충돌 지속 | 450
– 고요가 깃든 38선 | 450
– 1950년 5월: 북한의 38선 충돌 과장 | 459
2. 북한의 공격형 군사력 완비 | 465
– 정규군 병력·무장의 강화 | 465
– 제2전선 구축과 유격대 남파 | 471
Ⅳ부 개전의 결정·공격 계획의 수립·초기 전투
1장 조·중·소의 개전 합의와 전면공격의 결정 | 479
1. 스탈린의 허가·마오쩌둥의 동의 | 479
2. 전면 선제공격의 결정과 개전 준비 | 496
2장 공격작전 계획의 수립 과정과 특징 | 515
1. 「공격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 515
2. 「제1타격작전계획」·「반격계획」의 완성 | 524
– 구소련 외교문서(1950. 6. 15) | 525
– 「조선인민군 제1타격계획 작전지도(사본)」(일자 미상, 코로트코프) | 530
– 「반격계획」〔일자 미상, 라주바예프 보고서(1951. 11. 4)〕 | 537
– 「정찰명령 1호」(1950. 6. 18, 인민군 총참모장·정찰국장) | 540
– 「공격작전용 조선인민군 정찰계획」(1950. 6. 20, 인민군 총참모장) | 551
3. 사단급 이하의 명령·지령 | 563
– 사단급 전투명령(2사단·4사단) | 563
– 연대급 이하의 명령 및 문헌 | 568
3장 개전 초기 옹진전투 I :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전’ 주장 | 575
1. 내무성의 북침·반공격 보도 | 575
2. 포로들의 ‘북침’ 증언 검토 | 580
3. 옹진전투 승리의 진실 | 585
4장 개전 초기 옹진전투 II : 북한 노획문서의 증언 | 593
1. 경비3여단의 공격 준비 상황 | 594
2. 6사단 1연대의 공격 준비 상황 | 604
3. ‘공격전투계획’의 구성과 실행 | 621
– 1949년의 “방어전투계획” | 621
– 전선으로 이동 | 626
– 집결구역에서의 최종 점검 | 629
4. 옹진 ‘공격전투’의 전개와 특징 | 637
Ⅴ부 에필로그
1장 ‘불의의 기습남침’과 ‘정보의 실패’ | 653
1. 만연한 북한의 침공정보 | 653
2. 정보의 실패 : 잘못된 가정과 정보판단 | 661
3. 진정한 ‘불의의 기습남침’ | 673
2장 미혹된 진실: ‘해주점령설’의 재검토 | 684
1. 한국의 설명 : 오보와 과장 | 684
2. 미극동군사령부 정보 자료의 혼란 | 702
3. 유도는 있었는가? | 711
3장 혼돈 속의 진격: 북한군의 실상과 허상 | 723
1. 공격사단들의 실상 | 723
2. 혼돈 속의 진격 | 731
부록 | 744
참고문헌 | 767
찾아보기 | 800
번호 | 도서 | 제목 | 댓글 | 글쓴이 | 작성일 |
---|---|---|---|---|---|
1 |
한국전쟁-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정병준/돌...
|
조통 | 2015.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