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정병준 지음

발행일 2006년 6월 19일
ISBN 8971992417 03910
면수 816쪽
판형 국판 148x210mm
가격 38,000원
분류 역사·인물 단행본
수상∙선정 2006 한국일보 한국출판문화상 저술상 학술 부문
2007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한 줄 소개
국내 역사학자가 쓴 최초의 본격적인 한국전쟁 연구서인 이 책은, 역사적 사료를 따라 한국전쟁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주요 내용

국내 역사학자가 쓴 최초의 본격적인 한국전쟁 연구서인 이 책은, 역사적 사료를 따라 한국전쟁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전통주의, 수정주의 혹은 신전통주의, 후기수정주의 등의 이론적 배경보다 한국전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역사적 진실을 추구하는 데 기본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그 과정에서 한국전쟁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비판적으로 검토되며, 전쟁사 연구의 기본에 해당하는 1948년 이래 남북한군 병력 현황, 1948~50년 38선 충돌 현황 등이 정리된다.
대부분의 한국전쟁 연구자들이 전쟁의 결정 시점, 결정 주체, 스탈린·김일성의 관계 등에 집중한 나머지 1949년 자료를 정확히 해독·활용하지 못했다. 반면 이 책은 구소련 문서 중 1949년 38선 충돌 및 남북관계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폭넓게 활용했다. 또한 공식 전사류의 서술과 구소련 문서 등과 비교함으로써, 1949년 일어났던 38선 충돌 사태의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세밀한 사건의 인과관계와 전말을 복원하고 있다.

차례

머리말 | 7

I부 서장

1장 한국전쟁사의 역사 | 25
1. 정치적 논쟁과 공식 전쟁사 | 25
2. 여러 가설의 제출과 미궁 | 34
3. 미국 자료의 공개와 수정주의의 확산 | 42
4. 러시아 자료의 공개와 새로운 연구 경향 | 51

2장 전쟁의 개전·성격·형성 | 69
1. 개전을 둘러싼 논쟁의 해결 | 69
2. 전쟁의 성격: 내쟁 같은 국제전쟁·외전 같은 동족전쟁 | 75
3. 전쟁의 형성 | 86

3장 구성·연구 방법·자료 | 91
1. 연구의 구성 | 91
2. 연구 방법·연구 자료 | 104
– 연구 방법 | 104
– 미국 문서 | 105
– 구소련 문서 | 107
– 북한 노획문서 | 109
– 기타 | 112
– 지도 | 112

Ⅱ부 미소의 38선 정책과 남북갈등의 기원

1장 38선 분할과 미소의 대한정책 | 119
1. 38선 획정의 국제정치 | 119
2. 고위급 정책 결정: 군사점령·군정 | 127
3. 정책의 실현: 군정의 실시 | 132
4. 38선의 존속과 철폐 문제 | 139

2장 미소의 진주와 38선의 군사경계선화 | 143
1. 첫번째 만남: 1945년 9월 11일 개성 | 143
2. 미소의 연락체제 구축 | 147
3. 38선 경비의 강화 | 151
4. 38선 통행 금지와 군사경계선화 | 158

3장 미소의 38선 대책과 합동조사 | 165
1. 미군정의 38선 중립지대화 방안과 조사 구상 | 165
2. 미군정의 38선 철폐공세와 행정단위 조정안 | 168
– 38선 철폐공세 | 168
– 38선의 행정단위 조정안 | 171
3. 제1차 미소 38선 합동조사(1946. 5) | 174
4. 제2차 미소 38선 합동조사(1947. 4) | 180

4장 1945∼48년 38선 충돌의 특징과 성격 | 188
1. 1945∼47년 : 점진적 고양 | 192
– 1945년 | 193
– 1946년 | 193
– 1947년 | 194
– 전력 문제 | 198
– 구암·예의저수지(연백저수지) | 200
2. 1948년 : 남북갈등의 격화와 전환 | 202
– 1948년의 특징 | 202
– 원대리·구만리사건 | 208
– 옹진 은동리저수지 사건 | 211
– 미군정의 대책 | 213

5장 미소의 대한정책·점령정책과 그 유산 | 217
1. 미소의 대한정책과 국제 냉전 | 217
2. 미소 점령이 남긴 유산 | 221

Ⅲ부 남북의 정치군사적 갈등과 38선 충돌

1장 정부수립 후 남북한의 적개심과 적대적 동화 | 227
1. 1948년의 동력학과 남북의 적대의식 | 227
– 과도기로서의 1948년 | 227
– 폭풍: 여수 주둔 14연대 반란 | 232
– 1948년의 동력학 | 236
2. 남북한의 적대적 동화와 38선 충돌 | 240
– 최고 지휘부의 적개심 | 240
– 군사 지도자들의 오해와 증오 | 248

2장 무장 충돌의 발화와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 구상 1949. 2∼1949. 4 | 258
1. 1949년 38선 충돌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 | 258
2. 무장 충돌의 발화와 정치적 배경 | 268
– 진지 구축과 주요 충돌 지점 | 270
– 유엔한국위원단의 방한과 기사문리·고산봉전투 | 276
– ‘해주의거’ 사건 | 282
3. 공산주의 삼각동맹과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전’ 구상 | 290
– 스탈린의 결정: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전’과 조소 군사원조협정 | 292
– 중공의 동의와 한인부대의 입북 | 298
– 북한의 병력·무장 강화 | 301

3장 연대급 전투의 전개와 남한의 7월 공세 1949. 5∼1949. 7 | 304
1. 남북한 병력 규모의 변화 | 305
– 한국군의 병력 규모 | 306
– 북한군의 병력 규모 | 315
2. 연대급 전투의 전개(개성─옹진) | 333
– 5·4 개성 송악산 292고지전투와 38선 충돌의 확대 | 333
– 옹진 제1차 충돌(5. 21∼6. 27)과 한국군의 옹진 강화 | 350

3. 한국군의 7월 공세 | 363
– 위기와 기회의 6월 | 363
– 호림부대의 대북 침투 | 370
– 양양돌입사건(제2차 고산봉전투) | 375
– 개성 송악산 488고지전투(7. 20∼8. 3) | 379
4. 한국군의 7월 대북공격설 재검토 | 381
– 구소련 문서에 나타난 ‘북침’ 가능성 보고 | 383
– 미국 자료에 나타난 남한의 대북공격 우려 | 387
– 북한의 방어 계획과 군사력의 증강 | 391
– 7월 대북공격설의 파급 효과 | 396

4장 북한의 옹진 점령 계획과 9월 공세 1949. 8∼1949. 10 | 404
1. 북한의 공격 노선 전환과 옹진 점령 계획 | 405
– 옹진 제2차 충돌과 북한의 옹진 점령 시도 | 405
– 8월의 북한: 공격 노선으로 급격히 전환 | 410
2. 9월의 소련: 대남공격 가능성 검토와 노선 전환 | 419
3. 북한의 9월 공세설 | 434
4. 은파산전투(옹진 3차 충돌)와 연대급 38선 충돌의 종식 | 441

5장 소규모 충돌의 지속과 북한의 공격형 군사력 완비 1949. 11∼1950. 6 | 450
1. 정찰 과정에서의 소규모 충돌 지속 | 450
– 고요가 깃든 38선 | 450
– 1950년 5월: 북한의 38선 충돌 과장 | 459
2. 북한의 공격형 군사력 완비 | 465
– 정규군 병력·무장의 강화 | 465
– 제2전선 구축과 유격대 남파 | 471

Ⅳ부 개전의 결정·공격 계획의 수립·초기 전투

1장 조·중·소의 개전 합의와 전면공격의 결정 | 479
1. 스탈린의 허가·마오쩌둥의 동의 | 479
2. 전면 선제공격의 결정과 개전 준비 | 496

2장 공격작전 계획의 수립 과정과 특징 | 515
1. 「공격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 515
2. 「제1타격작전계획」·「반격계획」의 완성 | 524
– 구소련 외교문서(1950. 6. 15) | 525
– 「조선인민군 제1타격계획 작전지도(사본)」(일자 미상, 코로트코프) | 530
– 「반격계획」〔일자 미상, 라주바예프 보고서(1951. 11. 4)〕 | 537
– 「정찰명령 1호」(1950. 6. 18, 인민군 총참모장·정찰국장) | 540
– 「공격작전용 조선인민군 정찰계획」(1950. 6. 20, 인민군 총참모장) | 551
3. 사단급 이하의 명령·지령 | 563
– 사단급 전투명령(2사단·4사단) | 563
– 연대급 이하의 명령 및 문헌 | 568

3장 개전 초기 옹진전투 I : ‘도발받은 정의의 반공격전’ 주장 | 575
1. 내무성의 북침·반공격 보도 | 575
2. 포로들의 ‘북침’ 증언 검토 | 580
3. 옹진전투 승리의 진실 | 585

4장 개전 초기 옹진전투 II : 북한 노획문서의 증언 | 593
1. 경비3여단의 공격 준비 상황 | 594
2. 6사단 1연대의 공격 준비 상황 | 604
3. ‘공격전투계획’의 구성과 실행 | 621
– 1949년의 “방어전투계획” | 621
– 전선으로 이동 | 626
– 집결구역에서의 최종 점검 | 629
4. 옹진 ‘공격전투’의 전개와 특징 | 637

Ⅴ부 에필로그

1장 ‘불의의 기습남침’과 ‘정보의 실패’ | 653
1. 만연한 북한의 침공정보 | 653
2. 정보의 실패 : 잘못된 가정과 정보판단 | 661
3. 진정한 ‘불의의 기습남침’ | 673

2장 미혹된 진실: ‘해주점령설’의 재검토 | 684
1. 한국의 설명 : 오보와 과장 | 684
2. 미극동군사령부 정보 자료의 혼란 | 702
3. 유도는 있었는가? | 711

3장 혼돈 속의 진격: 북한군의 실상과 허상 | 723
1. 공격사단들의 실상 | 723
2. 혼돈 속의 진격 | 731

부록 | 744
참고문헌 | 767
찾아보기 | 800

독자 의견
번호 도서 제목 댓글 글쓴이 작성일
1 한국전쟁-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정병준/돌...
조통 2015.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