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임창복 지음

발행일 2011년 8월 16일
ISBN 9788971994936 93610
면수 552쪽
판형 국판 148x210mm
가격 26,000원
분류 문화·예술 단행본
수상∙선정 2012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 줄 소개
1876년 개항 이래 2000년까지 약 120년 동안의 우리나라 단독주택 변천사를 토대로 그것에 담긴 문화적 의미까지 포괄하여 다룬 책.
주요 내용

우리나라에서 주택의 형태는 근대화를 겪으며 많은 변모를 보였다.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는 이러한 주택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는 유형의 변화에 주목한 저자(임창복,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교수)가 1876년 개항 이래 2000년까지 약 120년 동안의 우리나라 단독주택 변천사를 토대로 그것에 담긴 문화적 의미까지 포괄하여 다룬 책이다.

차례

*책을 펴내며│개항기부터 오늘날까지 단독주택의 변천사를 읽다

서장_주거건축의 근대화와 문화적 전통

제1장 개화기 양식주택
1. 양식주택의 개념
2. 양식주택의 형성
3. 양식주택의 사례
4. 양식주택의 공간적 특성

제2장 선교사주택
1. 동서양 주거문화의 습합
2. 한*양 절충식 주택의 형성 배경
3. 한*양 절충식 주택의 사례
4. 한*양 절충식 주택의 성립과 공간적 의미

제3장 이식된 일식주택
1. 한일 강제병합과 일식주택의 유입
2. 한반도에 소개된 일식주택
3. 중복도형 일식주택의 유입
4. 거실 중심형 주택
5. 일식주택의 영향과 의미

제4장 서울의 근대한옥
1. 근대한옥이라는 주거공간
2. 근대한옥의 형성 배경
3. 서울지방의 근대한옥
4. 변화 요소의 분석적 고찰
5. 서울 근대한옥의 공간적 변화와 의미

제5장 지방의 근대한옥
1. 지방 근대한옥의 등장
2. 경기지역의 근대한옥
3. 충청지역의 근대한옥
4. 전북지역의 근대한옥
5. 전남지역의 근대한옥
6. 경북지역의 근대한옥
7. 지방 근대한옥의 공간적 변화와 의미

제6장 생활개선과 주택개량 운동
1. 근대 주거사상의 태동
2. 생활개선 운동
3. 주택개량 운동
4. 전통을 바탕으로 한 주거문화의 개선

제7장 도시형 한옥
1. 개량 한옥의 등장
2. 도시형 한옥의 형성
3. 도시형 한옥의 평면 유형
4. 도시형 한옥의 공간요소
5. 재료 및 구법
6. 도시형 한옥과 2층 점포한옥
7. 도시형 한옥 주거지 구조의 의미

제8장 문화주택의 성립
1. 근대적 인본주의와 문화주택
2. 문화주택의 전개
3. 문화주택에 대한 한인 건축가들의 인식
4. 문화주택의 건축적 특징과 의미

제9장 한인 건축가와 주거건축
1. 한인 건축가의 등장
2. 한인 건축가의 주거 계획안
3. 한인 건축가의 작품주택
4. 주택작품에 나타난 특징
5. 주거건축에 나타난 근대화적 성과

제10장 조선주택영단과 영단주택
1. 조선주택영단의 설립 배경
2. 조선주택영단의 사업 전개
3. 조선주택영단의 표준설계도
4. 주택영단의 형型 계획과 단지 계획
5. 영단주택단지와 주택 변화의 의미

제11장 광복 이후의 신주거유형
1. 광복과 한국전쟁 후의 주택 사정
2. 광복 이후 건축가들의 주거개선 노력
3. 공공부문에 의한 주택 재건: 공영주택
4. 새롭게 성립된 주거유형의 의미

제12장 산업화 시대의 주거문화
1. 자주적 산업화 시대
2. 도시 일반주택
3. 공영주택
4. 1960년대 건축가들의 노력
5. 1960년대 주거문화의 의미

제13장 격변하는 주거문화
1. 새마을운동의 점화
2. 새마을주택의 형성
3. 불란서주택의 탄생
4. 1970년대 작품주택
5. 1970년대 주거문화의 특징과 의미

제14장 2층 주거문화 시대
1. 대대적인 사회변화와 주거양식의 재편
2. 2층 일반주택
3. 1980~90년대 작품주택
4. 2층 주택 주거문화 시대의 공간 변화와 의미

제15장 다세세․다가구 주택
1. 다세대주택의 형성 배경
2. 다세대 거주 단독주택의 형성과정과 물적 특성
3.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법적 정의
4.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사례
5.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정착을 위하여

결론_전통을 계승한 근대적 주거문화 창출을 위하여

*주
*이미지 출처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임창복 지음

任昌福
1946년생.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 후 캐나다 토론토대학에서 건축학으로 석사를 그리고 서울대학교 건축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양건축사무소’에서 국내 건축실무를 익힌 후, 캐나다 토론토의 ‘WZMH 건축사무소’와 ‘제임스 A. 머레이James A. Murray 건축도시 사무소’에서 외국의 건축실무 경험을 쌓았다.
귀국하여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의 지역개발연구소RDRI에서 주택연구실장으로 재직하며 ‘행정수도 주거지계획’과 ‘주거단지의 계획과 평가’ 그리고 ‘다세대거주 단독주택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 MIT 건축도시연구소의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주택관련 연구를 심화한 후 박사학위 논문으로 「한국도시단독주택의 유형적 지속성과 변용성」을 발표하였고, 도쿄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의 객원연구원을 거친 후에는 「일제시대 한인건축가에 의한 주거개선연구」와 「서울지방 근대한옥의 공간분석연구」를 발표하였다.
JAABE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의 건축*도시 분야 편집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건축계획론』,『주거론』,『21세기엔 이런 집에서 살고 싶다』(이상 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주거공간의 의미』,『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등이 있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