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과 반전의 순간 Vol.2

강헌이 주목한 음악사의 역사적 장면들

강헌 지음

발행일 2017년 4월 19일
ISBN 9788971998038 04600
면수 348쪽
판형 변형판 130x204, 소프트커버
가격 15,000원
분류 문화·예술 단행본
한 줄 소개
대중음악사의 현장과 예술가의 삶을 가로지르는 독창적인 문화사
주요 내용

강헌, 음악사의 베일을 낱낱이 벗기다!

 

“그냥 받아 적기만 해도 책이 된다.” 음악평론가 강헌의 입담을 두고 그간 뭇사람들이 해온 말이다. 호는 의박意薄, 자는 산만散漫이라는 그는 20여 년이 지나서야 ‘첫’ 책을 출간한다. 음악사를 통해 역사와 예술의 이면을 읽는 『전복과 반전의 순간 Vol.1』은 강헌이 책을 냈다는 사실만으로도 뜨거운 호응을 얻었고, 출판사에는 2권에 대한 문의가 쏟아졌다. 그리고 마침내, 『전복과 반전의 순간 Vol.2』가 출간되었다.

‘전복과 반전의 순간’ 시리즈는 ‘강헌이 주목한 음악사의 역사적 장면들’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기나긴 인류의 음악사 속에서 시대와 지역, 장르를 넘어 어떤 특수한 음악적 현상이 이끌어내는 특별한 역사적 장면을 주목하는 책이다. 이번에 출간하는 『전복과 반전의 순간 Vol.2』는 제국주의의 열풍 속에 활동한 ‘러시아 5인조’와 ‘조선음악가동맹’, 1980년대 자본주의의 폭발과 함께 성장한 주류와 비주류 음악,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고 위대한 변혁을 이룬 신빈악파와 비밥, 오페라로 시작하여 성공적인 대중예술로 안착한 뮤지컬을 다룬다. 참고로 『전복과 반전의 순간 Vol.1』에서는 20세기 초중반 미국의 재즈와 로큰롤, 한국의 통기타 음악과 그룹사운드, 프랑스 혁명 전후로 활동한 모차르트와 베토벤, 일제강점기과 해방 무렵의 우리 대중음악에 관해 이야기했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음악평론가 강헌과 함께 시공간을 오가며, 음악을 통해 문화사 전반을 읽어내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전복과 반전의 순간』 시리즈는 쉬운 글로 예술에 대한 환상과 거품을 걷어내고 예술가의 민낯을 낱낱이 밝히고자 한 책이다.

그리하여 한 사람의 인간인 예술가를 통찰하고 대중음악·클래식·한국음악으로 구분된 장르를 해체하여 그 경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1980년대 한국 대학가에 친일파의 노래가 널리 퍼진 이유는?

경기도 화성 출신인 조용필이 부산의 아들이 된 까닭은?

너바나의 음악은 섹스 피스톨스에 빚을 졌다?

클래식의 신빈악파와 재즈의 비밥이 음악적으로 내통했다?

뮤지컬 영화는 돈이 없어서 만들었다?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러닝타임은 원래 다섯 시간이었다?

.

.

.

대중음악사의 현장과 예술가의 삶을 가로지르는 독창적인 문화사

음악은 듣는 이의 의지와 관계없이 의식과 무의식에 깊은 흔적을 남긴다는 점에서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다. 어떤 순간, 어떤 공간에도 존재하기에 마치 레이저에 포착되지 않는 적기敵機처럼 인간사에 침투한다. 따라서 한 시대의 음악을 이해하는 일은 당대 사람들의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의식과 무의식을 분석하는 것과 같다. 강헌이 음악과 음악가를 통해 사회와 역사, 당대의 시대정신을 관통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헌은 대중문화가 지금 깊은 터널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고 말한다. 문화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에 무슨 소리인가. 그것은 예술 콘텐츠의 양적 팽창이 질적 성장을 담보하지 못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의미다. 소수의 메이저 기획사가 시장을 좌지우지하고 천편일률적인 장르 문법이 승자독식의 폭력을 행사하는 시대라는 말이다. 지금은 음악을 비롯해 문화 전반에 걸쳐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부정성이 극대화된 시기다. 그러나 불과 30여 년만 거슬러 올라가면, 음악가들이 저마다 개성을 꽃피우면서 다채로운 음악을 만들고 이로 인해 수용자들의 음악적 감수성이 풍요롭게 다변화된 시기가 있었다. 음악은, 나아가 문화는 다양성을 확보할 때에만 그 생명력을 지속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구성원과 여러 가지 장르가 상생적 조화를 이루고 건강하게 공존해야만 우리 사회는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전복과 반전의 음악이 필요한 때다. 장르를 해체하고 경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음악사가 쓰여야 한다. 강헌은 음악사의 역사적 장면을 통해 예술가의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과거의 시대정신과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를 읽어내고자 한다. 음악사의 전복과 반전이 어떤 동기와 역학으로 일어나는지, 그것이 어떻게 정치경제적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이로써 지배계급 중심의 획일적인 문화와 전체주의적인 역사를 넘어서고자 한다. 강헌은 ‘전복과 반전의 순간’을 통해 대중문화가 오랜 침체기를 지나 다시 도약하기를 바란다. 이제, 음악을 매개로 강헌이 누빈 역사와 문화 변혁의 현장에서 예술가의 민낯과 시대적 장면을 마주해보자.

1장의 제목은 ‘민족음악을 향한 멀고도 험한 길이다. 여기서는 19세기 후반 러시아와 해방 전후 한국에서 살아간 ‘러시아 5인조’와 ‘조선음악가동맹’을 주목한다. 이들을 통해 ‘중심에 대한 주변의 문제의식’과 서구적 근대에 대한 궁극적 답변인 ‘민족음악운동’을 묶어, 주변부에서 이루어진 장렬한 음악철학적 독립선언을 살펴본다. 2장은 ‘주류와 비주류의 행복한 이인삼각이라는 주제로 자본주의와 시장경쟁 체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한 1980년대 미국과 한국의 음악을 다룬다. 마이클 잭슨과 U2, 조용필과 들국화로 요약되는 1980년대는 주류와 비주류의 음악이 나란히 성장하며 시장의 카리스마, 언더그라운드의 신화가 공존한 영광스러운 시대였다. 3장은 ‘엘리트주의의 위대한 반역이다. 19세기 후반 혁명이 실패한 유럽에서 신빈악파는 지배질서를 거부하는 새로운 음악을 창조하고자 했으며, 1930년대 흑인 재즈음악가들은 백인과 투쟁하며 재즈 본연의 자유로운 흑인정신을 되찾고자 했다. 3장에서는 신빈악파와 비밥의 미학적 혁신을 통해 음악사에 새겨진 가장 지성적인 혁명의 순간을 만날 수 있다. 마지막 4장의 제목은 ‘음악 열등국가가 만들어낸 최후의 무대 콘텐츠, 뮤지컬이다. 뮤지컬은 17세기 지배계급의 오페라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이에 저항하며 출현했다. 오페라의 영광을 찬탈한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의 뮤지컬은 그 출발은 늦었으나 인류 예술사의 수많은 최선의 성과를 포섭하고 축적해온 결과물로서 대중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뮤지컬은 가장 순조로운 반전의 명예혁명을 일으키며 자신의 영역을 구축한 예술 장르다.

 

 

전복과 반전의 순간 Vol.2에서 주목하는 음악들

 

1

무소르그스키 〈민둥산의 하룻밤〉 《전람회의 그림》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E단조 Op. 64》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Op. 35》 〈로미오와 줄리엣 환상서곡〉

림스키-코르사코프 《셰헤라자데》

안기영 〈그리운 강남〉

김성태 〈독립행진곡〉

김순남 〈해방의 노래〉

김종률 〈임을 위한 행진곡〉

.

.

.

 

2

조용필 1집, 4집, 7집

들국화 1집

정태춘 《아, 대한민국…》

노래를 찾는 사람들 2집

마이클 잭슨 〈스릴러〉

U2 《더 조슈아 트리》

브루스 스프링스턴 〈본 인 더 유에스에이〉

.

.

.

3

찰리 파커 〈나우스 더 타임〉

사라 본 〈애프터 아워스〉

마일스 데이비스, 존 콜트레인 〈소 왓〉

모리스 라벨 〈물의 희롱〉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쇤베르크 《달에 홀린 피에로》

.

.

.

 

4장

자크 오펜바흐 《지옥의 오르페우스》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박쥐》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제롬 컨 《쇼보트》

레너드 번스타인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앤드루 로이드 웨버, 팀 라이스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알랭 부브릴, 클로드미셸 쇤베르크, 캐머런 매킨토시 《레미제라블》

최창권, 예그린 《살짜기 옵서예》

.

.

.

 

차례

책을 펴내며 7

1 민족음악을 향한 멀고도 험한 길 – ‘러시아 5인조’와 ‘조선음악가동맹’ 14
제국주의와 함께 밀어닥친 서구중심주의의 열풍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지니고 새로운 음악사를 창조하려 한 이들이 있다. ‘러시아 5인조’와 ‘조선음악가동맹’. 이들이 주창한 민족음악은 민족의 감수성을 담은, 민중과 함께 호흡하는 음악이었다. 그러나 불멸이 된 러시아 5인조와 달리, 조선음악가동맹은 한반도 현대사의 격랑 속에 실종되는 비극적 최후를 맞았다.

2 주류와 비주류의 행복한 이인삼각 – 시장의 카리스마, 언더그라운드의 신화 96
1980년대는 자본주의에 의해 음악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였다. 시장경쟁 체제는 문화를 병들게도 하지만, 다양성을 담보한 시장 확장은 예술의 스펙트럼을 넓힌다. 마이클 잭슨과 조용필, U2와 들국화. 이들이 위대한 음악성을 보여준 1980년대는 건강한 주류가 비주류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함께 성장하는 시대였다.

3 엘리트주의의 위대한 반역 – 신빈악파와 비밥의 미학적 혁신 190
1848년 유럽에서 혁명은 실패했고, 새로운 세기에 등장한 신빈악파는 부르주아 음악문화의 뻔뻔한 동어반복에 저항하며 오선지 위의 혁명을 꿈꾸었다. 그로부터 40여 년 후, 아프리칸 아메리칸은 반인종차별투쟁 중이었다. 그들은 ‘스윙’마저 백인에게 빼앗겼다. 체계적인 음악과 약속된 연주. “이건 재즈가 아니잖아!” 그들은 즉흥연주를 통해 재즈 본연의 흑인정신으로 돌아갔다. 바로 그 순간에만 존재하는 단 하나의 음악, 그것이 비밥이었다.

4 음악 열등국가가 만들어낸 최후의 무대 콘텐츠, 뮤지컬 – 오페라의 영광을 찬탈한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 268
그랑오페라를 위시한 17세기 오페라는 지배계급의 문화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대중적 예술로 전환했다. 이후 미국은 실용주의와 자본주의 노선을 내세워 브로드웨이를 구축했고, 이에 자극받은 영국은 웨스트엔드를 형성했다. 뮤지컬은 오페라를 학살하는 대신 조용히 유폐시키며 예술사에서 가장 순조롭게 혁명에 성공한, 인류 최후의 문화 콘텐츠다.

지은이·옮긴이

강헌 지음

강헌 : 음악평론가. 1962년 부산 출생. 서울대학교 국문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원 졸업. 석사학위논문으로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기 음악비평연구」가 있음.

독립영화 집단 ‘장산곶매’ 대표로 <오! 꿈의 나라>, <파업전야>, <닫힌 교문을 열며> 등을 제작, 영화법 사전심의조항 위반으로 기소된 바 있음. 이후 위헌제청 끝에 헌법재판소에서 승소, 영화 및 음반에 대한 검열기관인 공연윤리심의위원회 철폐에 앞장 섬.

영화 활동과 병행하여 SBS TV드라마 <제3극장>을 쓰기도 했고, 노찾사와 함께 <끝나지 않는 노래>와 <노래를 읽는 책 이야기> 같은 공연을 기획 연출했으며, 『상상』과 『리뷰』 같은 대중문화 계간지를 서영채, 주인석, 이윤호, 권성우, 정윤수, 김종엽 등 오랜 동료들과 같이 만든 바 있음. 김인수, 서우식과 함께 상업 영화사 ‘프리시네마’를 만들어 <정글스토리>를 기획하고 시나리오를 썼으나 흥행에 참패했고, 이를 기점으로 영화보다는 음악평론가이자 공연 및 음반기획자로 본격적인 활동을 펼쳐 거개의 중앙일간지와 주간지, 월간지에 기고하는 한편으로 검열철폐기념 콘서트 <자유> 총감독, <포크 30주년 기념 페스티벌> 총감독, 들국화 헌정앨범 및 공연 총감독, <노동의 새벽> 헌정 앨범과 공연 총감독,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 음반과 공연 <노무현을 위한 레퀴엠> 등을 무대에 올림. 이와 한편으로 뮤지컬 <천변살롱>과 <천변카바레>의 대본을 썼고, 모노뮤지컬 <공주는 잠 못 이루고>를 쓰고 연출했으며 지금은 고故 신해철의 노래만으로 이루어진 뮤지컬을 준비 중.

대학로 벙커1에서 <전복과 반전의 순간>, <강헌의 와인야부리>, <강헌의 오빠사이드>, <올댓 클래식>, <강헌의 좌파명리학>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했거나 하고 있으며 음식문화 팟캐스트 <걸신이라 불러다오>와 SBS FM라디오 <황교익 강헌의 맛있는 라디오> 진행 중. 최근 서울 문래동에 명리학연구소 <哲공소>의 문을 열었음.

편집자 100자평
대중문화는 지금 깊은 터널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또 다른 전복과 반전의 음악이 필요한 때다. 강헌은 이 책 ‘전복과 반전의 순간’을 통해 대중문화가 오랜 침체기를 지나 다시 도약하기를 바란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미디어 기사
부산일보 / [시선] 한국 음악의 변곡점이 된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
강헌이 주목한 음악사의 역사적 장면들 / 노컷뉴스
[책과 삶]음악으로 본 역사의 짜릿한 변주곡 /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