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로 만난 사회
\\\\’파우스트\\\\’에서 \\\\’설국열차\\\\’까지
발행일 | 2014년 11월 10일 |
---|---|
ISBN | 9788971996317 03600 |
면수 | 316쪽 |
판형 | 신국판 152x225mm |
가격 | 15,000원 |
분류 | 문화·예술 단행본 |
사회학자 김호기가 말하는 예술과 사회
“사회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런 예술적 탐구와 유희는 개인적인 것인 동시에 사회적인 것이다. ‘개인적’이라 함이 어떤 형태의 예술이든 개인의 상상 및 경험에 기반을 두고 창조된 것임을 뜻한다면, ‘사회적’이라 함은 그 상상 및 경험이 허공 속에 존재하는 게 아니라 사회라는 구체적인 공간 속에서 탄생하고 성장하며 또 소멸하는 것임을 함축한다.
내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어떤 예술양식이든 그것이 갖는 사회적 의미다. 문학이든, 음악이든, 미술이든, 아니면 영화든 우리가 예술을 감상하는 것은 그것을 통해 공감과 위안을 얻는 데 일차적인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 위안과 공감을 통해 타자들과 명시적·묵시적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데 예술의 사회학적 의미가 놓여 있다.”
제1부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하여 – 시
민주화는 옛사랑의 그림자일까: 김광규 -「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하여: 아담 자가예프스키 -「타인의 아름다움에서만」
4월 혁명의 날에 읽는 김수영의 시: 김수영 -「푸른 하늘을」
갑을관계를 생각한다: 정약용 -「적성촌에서」
느린 여행을 찾아서: 신경림 -「장자를 빌려 : 원통에서」
장년세대의 쓸쓸한 풍경: 황지우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반인간적 학벌사회를 넘어서: 이성복 -「모래내·1978년」
라틴아메리카의 발견: 파블로 네루다 -「시」
제2부 다원주의적 상상력을 위하여 – 소설·희곡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우리에게 미국이란 어떤 나라인가: 최인훈 -『화두』
G2 시대의 개막: 존 르 카레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다원주의적 상상력을 위하여: 움베르토 에코 -『장미의 이름』
정전 60년을 생각한다: 윤흥길 -「장마」
가족의 의미: 유진 오닐 -『밤으로의 긴 여로』
역사에 대한 예의: 황순원 -「기러기」
캘리포니아에서 생각하는 ‘1대 99’ 사회: 존 스타인벡 -『분노의 포도』
이산가족 상봉과 고향의 의미: 루쉰 -「고향」
공론장, 인권, 민주주의: 하인리히 뵐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인류의 미래: 코맥 매카시 -『로드』
시대정신을 묻는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제3부 신자유주의의 극복을 위하여 – 음악
DMZ 기행과 한반도 평화: 김민기 -〈철망 앞에서〉
신자유주의의 극복을 위하여: U2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연보라 코스모스를 안고 가는 어머니: 장세정 -〈울어라 은방울〉
다른 생각과 문화가 교차하는 국경: 루시드 폴 -〈국경의 밤〉
대중음악에 담긴 사회적 메시지: 밥 딜런 -〈My Back Pages〉
유목사회의 도래: 프란츠 슈베르트 -《겨울 나그네》
한국적 개인주의의 등장: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
이중적 분단갈등을 넘어서: 장일남 -〈비목〉
힙합과 서사의 시대: 에미넴 -〈Lose Yourself〉
음악의 의미: 루드비히 판 베토벤 -〈운명 교향곡〉
제4부 공감의 시대를 위하여 – 회화·사진·조각·건축
자아정체성의 발견: 빈센트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위기의 지구, 환경의 미래: 프랭크 헐리 – 남극 사진들
노동절에 생각하는 전태일: 임옥상미술연구소 – 전태일 반신상
고야에게로 가는 길: 프란시스코 고야 -〈1808년 5월 3일〉
마포의 추억: 김기찬 -『골목안 풍경 전집』
우리 시대 지식인의 초상: 정도전 – 경복궁 근정전
‘보편적 한국’이라는 꿈: 이쾌대 -〈푸른 두루마기를 입은 자화상〉
시민사회의 역동성: 하르먼손 판 레인 렘브란트 -〈야간 순찰〉
개방성과 다양성 위협하는 극단사회: 라파엘로 산치오 -〈아테네 학당〉
공감의 시대를 위하여: 에드워드 호퍼 -〈코드 곶의 저녁〉
제5부 꿈을 상실한 세대를 위하여 – 영화·만화
꿈을 상실한 세대를 위하여: 주호민 -『무한동력』
새로운 시험대에 선 가족관계: 기타노 다케시 -《기쿠지로의 여름》
경제민주화를 위하여: 잭 클레이턴 -《위대한 개츠비》
품위 있는 죽음: 미카엘 하네케 -《아무르》
포위된 젊음: 이사야마 하지메 -『진격의 거인』
자본주의 문명의 미래: 봉준호 -《설국열차》
태양계 너머로의 꿈: 스티븐 스필버그 -《E.T.》
삶의 의미를 묻는다: 잉마르 베리만 -《산딸기》
양성평등 사회를 향하여: 리들리 스콧 -《델마와 루이스》
다른 세계를 상상할 권리: 앤드류 애덤슨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예술, 그 안에 담긴 우리 시대의 풍경 / 경향신문
지금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나 … 예술로 짚어 본 한국사회의 그늘 / 중앙일보
문학-그림-노래로 만나는 시대정신 / 동아일보
막스 베버가 설국열차를 봤다면? / 부산일보
시대를 읽는 창, 예술 / 대전일보
민주화 됐다지만 … 더 진해진 갑을 관계 / 매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