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꿇을 수 밖에 없는 내공

글쓴이 kang39 | 작성일 2005.1.27 | 목록
신영복 지음
발행일 2004년 12월 13일 | 면수 516쪽 | 판형 국판 148x210mm | 가격 18,000원

한때 프레시안에서 열심히 연재물을 읽은 적도 있고, 또 연재를 마쳤을 때에는 시리즈를 밤새 회사에서 종이로 인쇄했던 기억도 있다. 불행히도 인쇄로 끝이었다. 단순한 종이 무더기에는 손이 가지 않았다. 책이라는 매체가 매력적이라는 사실을 이런 방식으로도 확인하게 된다.

드디어 책으로 나왔을 때의 반가움, 그것은 차라리 고마움이다. 얼른, 남이 볼까 무서워하며 품에 안았다. 동양고전은 한동안 내 독서의 한 테마로 자리잡을 예정이다. 신영복 선생이라면 좋은 길라잡이가 되어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다. 더구나 ‘강의’ 자체는 대학 1학년들을 위한 교양 수업이 아니던가. 마음 편하게 고전 입문의 기쁨을 기대했다.

그러나 아뿔싸. 일단 두께를 확인하는 순간 뭔가 만만찮음을 직감했어야 했다. ‘마음편함’은 집어치웠어야 했다. 서론에서부터 서당식 훈육의 효율성을 강조할 때 자세를 가다듬었어야 한다. 주역의 괘사 풀이에서 후일을 기약하며 책을 내려 놨어야 할지도 모른다.

신영복 선생은 절대로 친절하지 않았다. 꼬장꼬장한 서당 훈장의 모습이었다. 지금은 쓰지도 않는 한자들을 예시문으로 던져 놓고서 독음조차 달아주지 않았다. 진지한 독자라면 한자 한자 고생스럽게 찾아가며 몇년째 성공회대학에서 이뤄지는 강의를 들어야 했다. 불행히도 나는 진지한 독자가 되지는 못했다. 주된 독서 장소가 지하철이라고, 벌써 몇년째 써먹고 있는 변명만을 되풀이 한다.

사실 ‘강의’를 듣기 위해서 반드시 한자를 꼼꼼히 찾아 읽을 필요는 없다. 전통적인 한문 독해는, 많은 경우 부정된다. 강의는 신영복 선생의 독자적인 해석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물론 예시문도 선생의 해석에 부합하는 문장들로 채워진다. 고전 자체의 입문을 원한다면 ‘강의’를 볼 일이 아니다. 입문서들 좋은게 많이 나와 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 3천년의 인간력>을 추천한다) ‘강의’는 동양고전을 보는 큰 시각의 교정을 요구한다.

‘강의’는 춘추전국시대에 명멸했던 제자백가의 책들이 등장한다. <논어>와 <노자>, <묵자>, <한비자>. 같은 혼란기를 두고서 제각각의 해법을 제시한 책들이다. 당연히 시각이 다를 수 밖에 없고, 서로간에 대립되는 책들이다. 그러나 신영복 선생은 이들 모두를 꿰뚫는 하나의 이념을 찾아낸다. ‘관계론’이다.

서론에서 당당하게 이 책의 주제는 서구의 존재론과 대비되는 동양의 관계론이라고 단언할 때 독자는 다소 혼란스럽다. 그러나 한장씩 열심히 읽다보면 결국은 선생의 페이스에 말리고 만다. 무릎을 치고 만다. 결국 수십년 감옥에서 쌓은 내공에 저항 의지를 잃는다.

<주역> 괘사 풀이를 통해 ‘득위’와 ‘실위’의 개념을 설명하고 나오는 말이다. “자기의 능력을 키우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동양학에서는 그것보다는 먼저 자기의 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개체의 능력은 개체 그 속에 있지 않고 개체가 발 딛고 있는 처지와의 관계 속에서 생성된다고 하는 것이 주역의 사상입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실은 관계론의 심오한 뜻을 품고 있었던 셈이다.

<논어>에는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근심하라(不患人之不知己 患不知人也)’라는 말이 있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탓하는 것이 이를테면 존재론적 사고라고 한다면, 관계론적 사고는 내가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근심하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유학자들과는 2천년이 넘도록 앙숙인 <노자> 역시도 관계론에서는 예외가 아니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으로 시작하는 “<노자>의 제 1장은 무와 유가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고 있다는 관계론의 선언입니다.(중략) 형이상학적 체는 무이지만 형이하학적 용은 유라는 것이지요.”

이 관계론이라는 코드를 통해서 얻고 싶은 결론은 분명하다. 인간관계, 아니 그저 인간(人間)의 복원이다. 너 없는 내가 무슨 의미가 있겠으며, 나 없는 네가 얼마나 잘났냐는 말쯤이 되겠다. 신영복 선생은 논어의 한 구절 ‘和而不同’로 이 시대의 횃불이 될만한 문구로 정리해 낸다. “군자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지배하려고 하지 않으며, 소인은 지배하려고 하며 공존하지 못한다.”

개인적으로는 맹자의 한 구절이 계속 뇌리에 남는다. 꼭 기억해두고 싶다. 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흐르는 물은 웅덩이를 채우지 않고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법이다.

4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