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에서

글쓴이 김석진 | 작성일 2009.12.10 | 목록
박지원 지음 | 김혈조 옮김
발행일 2009년 9월 21일 | 면수 520쪽 | 가격 28,000원

당초 연암의 계획은 북경에 도착하여 사행단과는 별도로 당시 조선선비들의 지식의 창고였던 유리창을 비롯한 북경의 선진문물을 접하면서 자신의 식견을 넓히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특히 당시 서학이라는 형태로 조선에 들어온 야소교의 진상도 파악할겸 친구이자 선경험자인 홍대용의 중국측 지인들을 만나 안부도 묻고 학문적 교류를 왕성하게 펼치고자 사행단을 따라 오는 길에 줄곧 고민을 하였다. 하지만 황제의 갑작스런 열하 호출로 인하여 고민끝에 여태껏 조선선비중 누구도 밟아보지 못했던 열하로 향하게 된다. 와중에 시복이었던 장복과의 생이별을 통해서 타지에서의 이별과 청나라관리들의 독촉으로 인한 마부 창대의 발병등으로 연암은 열하까지 혼자의 몸으로 강행군을 하게되고 마침내 열하에 도착하게 된다.

이번 권은 열하에서 연암이 보고 겪었던 다양한 주제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1권에서는 연암의 원론적인 견해들이 수록되어 있다면 이번권은 각론적인 세세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어 약간의 무게를 더하는 다소 무거운 내용들이 많이 들어 있다. 특히 열하 태학관에서 우연하게 만난 곡정 왕민호, 통봉대부 대리시경이라는 상당한 높은 관직에서 은퇴한 형산 윤가전등과의 조우을 통하여 당시 천하의 대세, 음악, 역사, 과학, 종교, 정치등의 심도 깊은 필담을 나누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된다. 곡정이나 형산등의 한족출신의 선비들 뿐만 아니라 경순미같은 몽고출신의 선비나 당시 지배세력이었던 만주족 관리들과의 만남은 연암에게 또다른 세계를 보여주는 가장 소중한 만남이었다. 뿐만 아니라 연암은 이들과의 필담을 통해서 자신의 학문과 철학을 거침없이 쏟아내면서 중국학자들과의 논쟁에서 결코 밀리지 않는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곳곳에 연암 특유의 패러디를 동원해가면서 정곡을 찌르는 그의 언변은 잔잔한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사물을 보는 그의 정확한 눈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주로 곡정과의 대화가 주가 되었던 것은 곡정 역시 연암과 비슷한 아웃사이더겸 다양한 방면의 지적소유자이면서 시대와 불협화음하고 있다는 면에서 연암은 동질적인 동지의 끈끈한 정을 느끼기도 한다. 특히 망양록과 곡정필담에서 연암과 곡정은 중국역사에 등장하는 황제들과 신하들을 자신들만의 무대에 등장시켜 호되게 때론 가련하고 애틋하게 이모저모 낱낱이 탐색하는 과정이 호기심 많은 어린이를 보는 것 같아 절로 웃음짓게 한다. 물론 이 두사람의 의견이 통일되지는 않지만 서로 주거니 받거니하는 필담과정에서 연암이나 곡정이나 그 학식의 깊이를 짐작하고 남게 만들 정도로 박식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구와 태양와 달에 대한 연암의 피력은 비록 그 자신은 친구인 홍대용의 의견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가히 혁명적인 논리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아웃사이더인 곡정 조차 생각하지 못했을 정도로 연암의 우주론은 지금의 우주론과 차이점이 없을 정도로 깊이있는 이론으로 무장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황교문답과 반선시말등을 통해서 당시 청황실의 라마교에 대한 숭배를 사행단이나 중국측 학자들의 생각보다 한발짝 더 나아간 의견을 보임으로써 연암 특유의 인식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연암은 라마교를 당시의 정세와 연결하여 청나라의 기본적인 대외정책의 융통성에 대해서 그만의 논거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기존의 중국의 기본방침이었던 이이제의방식이 아닌 사전포석방식으로 서반과 몽고등 외곽지역의 불안정한 정세를 잠재우기 위한 방편이라는 것을 파악했던 것이다. 이민족 출신의 황제로서 누구보다 이민족의 강력한 힘을 알고 있는 건륭황제는 서반의 반선을 스승으로 모시면서 서반을 끌어안고 또한 열하에 더위를 피한다는 명목으로 자주 거동하면서 자신이 직접 몽고에게 강력한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는 것을 연암은 지적하고 있다.

연암은 이러한 중국의 대외정책의 변화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조선이 먼저 파악해서 시의적절한 외교정책을 감행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청제국은 이렇게 정책변화를 통해서 더욱더 강대한 제국으로 발전하고 있는데도 아직도 숭명배청 사상에 물들어 있는 조선의 고루한 선비들의 작태가 그저 한심하게 느껴질 뿐이었을 것이다.

우리는 연암과 중국측 학자들과의 필담을 통해서 연암의 또 다른 면모를 볼 수 있다. 연암은 곡정으로 대변되는 중국학자들과의 논쟁을 통해서 자신의 확실한 주장도 언급할 뿐 아니라 상대방의 주장 또한 한글자도 빠지지 않고 기록하므로서 한쪽으로만 치우치는 흐름을 바로 잡고 있다는 것이다. 비록 자신의 주장에 반대의견이 있더라도 누락하지 않고 후에 독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판단케하는 배려야 말로 연암의 열린 정신을 보여주는 단례일 것이다.

선수가 선수를 알아본다고 연암과 곡정의 필담은 마치 고기가 물을 만나듯이 다양한 주제에 관해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게 되고 연암의 이번 사행길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리고 아주 가벼운 발걸음으로 다시 북경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번 이야기들은 대체로 상당히 수준높은 담론들을 담고 있다. 특히 망양록은 고대 주나라의 음악과 관련된 이야기로 공자가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禮와 관련된 난해한 대담을 그 주제로 담고 있어 일반 대중에게 다소 지루한 느낌 마저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연암 특유의 노마디즘과 재치있는 위트 한마디로 인해 오히려 더 깊이 그의 담론에 빠져들게 한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한다. 연암이 누구인가 아무리 불세출의 논거나 주장이라도 이를 읽어 주는 대중이 없으면 공염불이라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그이기에 그는 곳곳에 특유의 나이브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입담을 던저 주고 있는 것이다. 역시 연암답다는 생각을 재차하게 된다.

太學留館錄(태학관에 머물며)
還燕道中錄(북경으로 되돌아가는 이야기)
傾蓋錄(열하에서 만난 중국 지인들)
黃敎問答(라마교에 대한 문답)
班禪始末(반선의 내력)
札什倫布(반선을 만나다)
行在雜錄(사행과 관련된 문건들)
審勢編(천하의 대세를 살피다)
忘羊錄(양고기 맛을 잊게 한 음악 이야기)
鵠汀筆談(공정과 나눈 필담)
山莊雜記(피서산장에서의 기행문들)

▣ 황교문답,반선시말,찰십륜포을 통해서 조선의 식자로서는 난생처음 겪게 되는 티벳불교와 달라이라마의 접견에서 사행단 대다수가 황제의 강압에 의한 결정에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이러지도 못하고 저리지도 못하는 사이에 반선을 접견하게 되고 덕담까지 듣게 되고 또한 덤으로 불상을 비롯한 선물공세까지 받게 된다. 정사 박명원을 비롯한 공식 사행단은 상당히 곤란한 입장에 처하지만 연암은 오히려 이러한 상황을 즐긴다. 연암 특유의 유머와 날카로운 시선으로 반선과 라마교를 관찰하면서 이후 곡정과의 필담에서 선수를 칠 수 있겠구나 하면서 내심으로 미소까지 짖는 연암의 모습과 사행단의 모습이 대조적이이다. 연암으로서는 이번 사행길에 열하와 반선을 접하게되는 절호의 기회를 잡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회를 연암은 붓끝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래저래 자신이 횡재했다고 느낀 연암은 다시 북경으로 돌아가는 길의 발걸음은 그저 가볍기만 해 보인다. 마부 창대도 몸이 완쾌되어서 동행할 수 있게 되고 돌아가는 길에 만리장성 북쪽끝인 고북구을 자세히 구경도 하고 빈승한테 수작도 걸어보면서 더 많은 견문과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을 북경을 항해서 가는 길은 그저 노마드적인 풍모를 볼 수 있다.

▣ 개인적으로 이번 권에서 망양록의 내용이 가장 난해한 것 같다. 궁,상,각,치,우로 대변되는 동양음악의 기원과 하,은,주 상고시대부터 공자에 이르는 예약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후대 왕조에 미치는 악의 영향등에 대한 논거를 보면서 연암의 박식함을 다시 한번 느끼는정도랄까 물론 후반부에 중국역사 전반에 대한 고찰이 있긴 하지만 대체로 어려운 내용이었다.

▣ 옥에 티라면 연암 역시 성리학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이다. 곡정과의 필담에서 고려사에 대한 그의 인식부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뭐 여기까지 지금의 잣대로 욕심을 부린다면 그야말로 연암의 열하일기는 아예 세상의 빛을 보지못했으라 여겨지지만, 그 만큼 이데올로기의 잔상이 깊고 클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이제 열하를 걸쳐 다시 북경에 도착한 연암의 눈에 비쳐지는 북경의 거리와 문물들을 연암이 어떻게 요리해 나가는지 궁금해진다.

3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