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악기 1

국립국악원 지음

발행일 2014년 12월 15일
ISBN 9788971996485 04600
면수 332쪽
판형 변형판 175x225, 소프트커버
가격 28,000원
분류 국립국악원 교양총서
한 줄 소개
우리 악기의 유래와 역사, 전승 과정, 제작 방법과 구조, 소리와 모양의 특징 등을 쉽게 풀어, 전통문화와 우리 음악이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도록 집필한 국악기 해설서
주요 내용

자연을 닮은 우리 악기, 영혼을 담은 우리 음악

최근 여우락 페스티벌, 동서양 퓨전 음악 공연, 판소리를 재해석한 새로운 개념의 작품 등이 인기를 끌면서 국악이 고리타분하고 지루하다는 편견이 깨지고 있다. ‘한국음악’이라 이르는 장르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범주가 점차 넓어지는 중이다. 우리 정서에 맞는 희로애락을 담고, 대중과 소통하는 젊은 음악이라는 사실에 공감하는 대중이 늘어나면서 국악은 나날이 활기를 더해가고 있다. 국악은 우리의 근원을 담은 음악이자 현재 진행형인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우리 음악에 대한 관심의 폭을 더욱 넓히고자, 국립국악원 교양총서의 첫 번째 기획으로 『한국의 악기 1·2』를 출간했다. 항상 우리 곁을 지키며 다정다감한 소리를 울리고 있지만, 마음과 귀가 쉽게 열리지 않아 미처 발견하지 못한 우리 악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의 악기 1』에는 우리 악기 가운데 가장 많이 연주되는 악기들을 모았다. 가야금, 거문고, 단소, 대금, 피리, 해금, 양금, 생황, 아쟁, 장구, 태평소. 열한 가지 악기의 역사와 특징, 제작 과정, 현재 연주되는 음악 이야기 등이 펼쳐진다. 『한국의 악기 2』에는 우리의 아악기와 무구(舞具), 의물(儀物)을 모았다. 편경·특경, 편종·특종, 금·슬, 약·적, 소·관, 훈·지·부, 화·생·우, 절고·진고, 축·어, 약·적·간·척, 휘·조촉. 아악기는 그 이름과 역사, 생김새와 소리 등이 생소하지만, 우리 선조의 깊은 사유와 아름다운 정신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국립국악원 교양총서를 통해 우리에게 아직 낯선 악기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열린 마음과 트인 시선으로 새로운 우리 음악의 세계를 만나보자.

 

“ 이 땅의 돌과 바위, 나무와 동물, 온갖 생명을 품어주는 흙과 여러 물질.

이 모든 것이 악기를 만들기 위해 제 몸을 기꺼이 내어준다.

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모든 물질은 악기가 된다.

그 악기가 만들어내는 우주의 음악은 사람의 마음에 닿아 인간을 위로하고,

때론 저 멀리 하늘에 닿아 영혼을 위로한다. ”

 

 

세상의 악기, 한국의 악기

“음악이란 하늘에서 나와 사람에게 깃든 것이며, 허(虛)에서 발하여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니,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며 피가 돌게 하고 맥박을 뛰게 하며 정신을 유통케 한다.” 조선 성종 대에 성현(成俔, 1439~1504)이 지은, 음악에 관한 백과사전인 『악학궤범』(樂學軌範) 서문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 악기는 자연의 소리에 기반을 둔다. 그것을 자연의 재료로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악기는 자연의 어울림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울림을 추구한다. 우리 선조는 이러한 울림이 사람의 성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 쇠의 소리는 성한 기운이 담겨 우리 마음이 강해지게 하고, 돌의 소리는 변별하고 결단하게 하며, 흙의 소리는 묵직하여 큰 뜻을 세우도록 하고, 나무 소리는 곧아서 바른 것을 세우고 자신을 깨끗이 하도록 하며……. 악기의 제작 재료는 저마다 사람의 마음을 단속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자연을 담은 악기로 연주하는 우리 음악은 건강한 음악이며 치유의 음악이다.

이 땅에 인류가 존속한 이래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수많은 악기가 만들어졌다. 저마다의 땅에서 산출된 다양한 재료로, 그 민족의 감수성에 맞게 만든 악기는 지금까지도 자신만의 온전한 특성을 드러내며 연주되고 있다. 또한 그 악기들은 한곳에 정착하거나 여러 지역으로 이동하며 생성·소통·교섭·소멸의 과정을 겪었다. 현재 전해지는 우리나라의 악기도 그러한 과정을 거쳐 전승되었고, 많은 악기가 여전히 사랑받으며 연주되고 있다. 국악기에는 이 땅에서 난 재료로 만든 토착악기가 있는가 하면, 다른 나라에서 전해져 우리 악기로 토착화한 것도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힌 악기도 있고, 외국에서 유입되었지만 토착악기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으며 전승된 악기도 있다. 이러한 악기의 생성·유통 과정에서 우리 문화의 속성을 읽을 수 있으며, 우리 음악에 담긴 선조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국립국악원 교양총서 『한국의 악기 1·2』는 우리 악기의 유래와 역사, 전승 과정, 제작 방법, 특징 등을 쉽게 풀어, 전통문화와 우리 음악이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도록 집필한 국악기 해설서다. 국립국악원의 연구원과 연주자가 전문성을 가지고 집필했다는 점에서 내용의 깊이와 폭 또한 충분히 신뢰할 만하다. 다양한 연주 사진과 악기 도판을 실었으며, 주요한 고문헌 자료 등을 충실히 담았고, 제작 과정을 상세한 사진과 함께 제시했으며, 각 장 끝에는 악기의 구조와 그 설명을 배치했다. 『악학궤범』이 국악 연구의 저본이 되어 지금까지 널리 읽히듯이, 이 책 또한 교양독자를 비롯해 전통음악 연주자와 연구자에게 오래도록 사랑받는 책이 되기를 기대한다.

 

 

자연의 소리를 담은 우리 대표 악기

국립국악원 교양총서 첫 번째 책인 『한국의 악기 1』은 우리 악기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지고 즐겨 연주되는 악기들의 이야기다. 가야금, 거문고, 단소, 대금, 피리, 해금, 양금, 생황, 아쟁, 장구, 태평소. 이 열한 가지 악기는 전통음악에 관심이 없는 독자들도 이름을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들의 역사와 특징, 제작 과정, 현재 연주되는 음악 등 악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내용을 비롯하여 다채로운 주제(현을 켜는 아쟁과 해금을 관악기로 분류한 까닭, 신윤복과 김홍도의 그림 속에 등장하는 우리 악기, 태평소가 대중음악에 비교적 널리 쓰이는 연유, 생황 복원을 위한 끝없는 연구와 실험, 양금과 피아노가 먼 친척인 이유 등)로 흥미롭게 악기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19세기 말, 기악음악의 꽃이라 할 만한 ‘산조’ 음악의 등장했다. 산조는 빠르게 내달리는 음악이기에, 산조 창작곡 탄생 이후로 연주자의 기교가 월등하게 좋아졌다. 연주자의 전문성이 깊어졌으며, 여러 악기가 앞다투어 산조 음악을 창작하고 연주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자주 연주되는 악기들의 개량이 활성화되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양음악과의 협연 등을 통해 더욱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다. 국악기의 다양한 변화와 새로운 시도는 우리 전통예술의 장점을 잇고 대중성을 확장하려는 노력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가 그 노력과 고민에 공감하고 우리 악기에 관심을 갖기를 소망하며, 단편적으로만 알고 있던 우리 악기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차례

발간사・5 여는 글・6

1장 여운을 빚는 악기, 가야금 —김해숙 18
이 땅의 오랜 벗, 가야금의 음악 / 다채로운 소리와 연주, 가야금의 종류 / 가야금 만들기 / 가야금의 구조

2장 온갖 시름을 잊게 하는 소리, 거문고 —송지원 48
거문고, 악기 중의 으뜸 / 1,600여 년을 살아온 거문고의 역사 / 몸과 마음을 닦는 소리, 선비 곁을 지키다 / 거문고의 상징성과 새로운 시도 / 거문고 만들기 / 거문고의 구조

3장 가을바람을 닮은 청아한 소리, 단소 —박정경 78
제멋을 잃지 않는 단소의 음악 / 함께한 역사는 짧지만 친근한 우리 악기 / 단소, 그 다양한 소리의 세계 / 전통을 지키고, 한계를 극복하다 / 단소의 신, ‘신소’를 그리며 / 단소의 구조

4장 곧고 강직한 울림, 대금 —이정엽 108
대나무,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악기 재료 / 변종 대나무 쌍골죽, 새로운 쓰임을 찾다 / 대금, 자신만의 독특한 음색을 갖추다 / 만파식적의 신성한 악기 / 넓은 음역과 다양한 음색을 담아내는 대금의 음악 / 대금 만들기 / 청의 울림, 대금만의 매력 / 대금의 구조

5장 자연을 닮은 악기, 피리 —강다겸 132
민초의 소리부터 궁중음악까지 품어낸 악기 / 피리, 이 땅에 뿌리내리다 / 반주에서 독주까지, 피리의 음악 / 피리 만들기 / 옛글과 옛 그림에서 피리를 만나다/ 피리의 구조

6장 천변만화千變萬化의 소리, 해금 —김채원 162
모든 소리를 표현해내는 해금의 음악 / 해금, 산조를 만나다 / 현대와 소통하는 악기 / 타는 것도 부는 것도 아닌 소리, 비사비죽非絲非竹의 선율 / 대중 곁에 머문 토착악기 / 세계에서 만나는 해금류 악기 / 해금 만들기 / 해금의 구조

7장 눈부신 물방울처럼 영롱한 소리, 양금 —김혜리 188
피아노와 같은 뿌리를 지닌 악기, 양금 / 어색한 외래악기가 사랑받는 국악기가 되기까지 / 연주와 조율의 어려움을 이겨내는 양금 연주자/ 또랑또랑한 금속성 음색,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다 / 양금의 구조

8장 생동하는 봄의 악기, 생황 —박지선 214
마음을 진정시키는 신비로운 음악 <수룡음> / 대나무 소리와 금속성 울림이 어우러진 악기 / 생황 복원을 위한 끝없는 실험/ 조선 선비의 풍류 생활과 함께한 생황 / 생황의 구조

9장 마음을 적시는 깊은 울림, 아쟁 —권주렴 240
현을 문질러 소리 내는 유일한 쟁류 악기 / 아쟁의 기원을 찾아서 / 지속음에 의한 표현 영역의 확대 / 현재 연주되는 아쟁 음악 / 아쟁 만들기 / 아쟁의 구조

10장 우리의 신명을 담은 가락, 장구 —문봉석 264
고려부터 지금까지, 장구의 역사 / 깊고 힘찬 울림을 만드는 장구의 요소 / 더 좋은 소리를 위하여 / 장구 만들기 / 장구, 리듬의 지휘자/ 장구의 장단, 우리 고유의 리듬/ 장구의 구조

11장 창공에 파르라니 울려 퍼지는 소리, 태평소 —양영진 292
천의 얼굴, 태평소 / 왕과 함께한 악기 / 불교의식에서 민중 풍물패의 선율까지, 태평소의 토착화 / 오늘날의 태평소, 대중음악과 함께하다 / 태평소의 구조

후주・318 찾아보기・326

지은이·옮긴이

국립국악원 지음

 http://www.gugak.go.kr

신라시대 왕립음악기관인 ‘음성서’에서 출발한 국립국악원은 천여 년의 전통과 역사를 가진 문화예술기관이다. 우리 전통음악의 맥을 잇고자 노력해왔으며, 국악의 현대적 가치와 미래적 전망을 널리 알리고자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국립국악원의 다른 책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