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의 천지제사

조선왕실의 행사01

김문식, 김지영, 박례경, 송지원 외 2인 지음

발행일 2011년 10월 31일
ISBN 9788971994474 04900
면수 358쪽
판형 국판 148x210mm
가격 28,000원
분류 왕실문화총서
한 줄 소개
는 국가의 중요한 의례 중 하늘신을 위한 환구제, 국토와 오곡의 신을 위한 사직제, 농사와 양잠의 신을 위한 선농제, 선잠제의 네 가지 의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하늘과 땅에 지냈던 제사의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책이다.
주요 내용

* 조선 왕실 최대 규모, 최고 권위의 행사!
‘왕권의 신성화’와 ‘민본의식’을 상징하는 『조선 왕실의 천지제사』

왕조국가이자 농경사회였던 조선의 왕실에서는 한 해 동안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졌다. 행사를 치르는 예법은 오례라 일컬어졌으며, 예부터 내려오는 정해진 규범과 제도에 따라 국가적인 규모로 치러졌다. 오례는 대사大祀, 중사, 소사로 구분되는 국가 규모의 제사를 뜻하는 길례吉禮, 국장國葬을 포함하는 상례인 흉례凶禮, 군사 의식에 관한 모든 예절을 뜻하는 군례軍禮, 국빈을 맞이하고 보내는 예절을 뜻하는 빈례賓禮, 왕의 혼례나 즉위, 왕세자ㆍ왕세손의 혼례나 책봉 의식과 관련된 예법인 가례嘉禮 등 다섯 가지를 말한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다섯 가지 국가의 중요한 예제 중 길례에 해당하는 의례 가운데, 하늘신을 위한 제례인 환구제, 국토와 오곡의 신을 위한 제례인 사직제, 농사와 양잠의 신을 위한 제례인 선농제, 선잠제의 네 가지 의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하늘과 땅에 지냈던 제사의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차례

* 주요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환구제, 천신을 위한 제례

1 환구제의 연원과 의미
2 중국 원구제 형성의 역사
3 한국 제천례의 유래
고대의 제천례|고려시대의 제천례
4 조선 전기의 제천례
태조 대|태종 대|세종 대|세조 대
5 조선 후기의 제천례
광해군 대|효종 대 이후|영조 대|정조 대
6 대한제국의 제천례
대한제국 이후의 환구단|환구단의 제도|환구제의 신위와 배치|환구제의 의식 절차|황궁우와 석고단
7 환구제의 악*가*무
환구제의 의식 절차와 음악|악현과 악기, 일무|악장과 선율
8 제천례 참여자의 복식
국왕과 왕세자의 면복|향관의 제복과 배향관의 조복|배향관의 흑단령
9 환구제 복원과 현대적 의미
환구제 복원의 현황|환구제의 특성|환구제의 현대적 의미

제2부 사직제, 국토와 오곡의 신을 위한 제례

1 사직제의 연원과 의미
2 중국의 사직제와 사직단
3 한국 사직제의 유래
고대의 사직제|고려의 사직제
4 조선 전기의 사직제
태조 대|태종 대|세종 대|세조 대|성종 대|연산군 대
5 조선 후기의 사직제
숙종 대|영조 대|정조 대|정조 대 이후
6 대한제국의 사직제
대한제국 이후의 사직단
7 사직제의 의식 절차와 사직단
의식 절차|사직단의 제도
8 사직제의 악*가*무
9 사직제 참여자의 복식
악사와 공인의 복식
10 사직제의 복원과 현대적 의미
사직제의 복원 현황|사직제 복원의 현대적 의미

제3부 선농제*선잠제, 농사와 양잠의 신을 위한 제례

1 선농제*선잠제의 유래와 의미
친경의례와 선농제|친잠의례와 선잠제
2 중국 왕실의 선농제와 선잠제
3 한국 선농제*선잠제의 유래
고대의 선농제와 친경의례|고려의 선농제와 친경의례
4 조선 전기의 선농제*선잠제
태조 대|태종 대|성종 대 친경의식|성종 대 친잠의식
5 조선 후기의 선농제*선잠제
숙종 대|영조 대의 친경의례|영조 대의 친잠의례|정조 대의 적전의례|고종*순종 대의 적전의례
6 선농단과 선잠단의 제도
적전|선농단과 선잠단|시일|축식*폐백*희생|제계
7 친경의궤와 친잠의궤
친경의궤|친경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친경도|친잠의궤
8 친경의식
예행연습|친경의식에 참여한 사람들|친경의식에 사용된 물건들|적전에서의 친경의식
9 친잠의식
선잠에 작헌하는 의식|친잠하는 의식|친잠의식의 마무리|축하 의식과 상전
10 선농제*선잠제의 악*가*무
선농제 의례 절차와 음악|선잠제 절차와 음악|악현과 악기, 일무|
선농제의 악장과 선율|선잠제의 악장과 선율
11 선농제 참여자의 복식
12 선잠제 참여자의 복식
영조 대의 친잠례 복식|왕비의 예복과 수식|왕비의 상복|
명부와 상궁 이하의 친잠복|의장차비
13 선농제*선잠제의 폐지와 복원
선농제와 선잠제의 폐지와 변화|선농제의 복원|선잠제의 복원|선농제와 선잠제 복원의 과제와 방향
14 선농제*선잠제 복원의 현대적 의미

부록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김문식 지음

金文植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행정안전부, 국립고궁박물관, 수원시박물관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저서로는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일조각, 1996), 『정조의 제왕학』(태학사, 2007),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새문사, 2009), 『왕세자의 입학식』(문학동네, 2010) 등이 있다.

김지영 지음

金芝英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조선후기 국왕 행차와 거둥길」(『서울학연구』 30, 2008), 「조선시대 사위의례에 대한 연구」(『조선시대사학보』 61, 2012),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박례경 지음

朴禮慶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진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남녀유별의 해석」(『철학과 현실』 77, 2008),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동양철학연구』 54, 2008),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송지원 지음

宋芝媛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정조의 음악정책』(태학사, 2007), 『옛 음악인 이야기: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태학사, 2009),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추수밭, 2010), 『조선 전문가의 일생』(공저, 글항아리, 2010),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심승구 지음

沈勝求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문화콘텐츠학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문화재 활용 가이드 북』(공저, 2008, 문화재청), 『한국역사민속학강의』(공저, 2010, 민속원),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2011, 돌배개), 『콘텐츠산업과 고유문화 연계방안연구』(공저, 20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등이 있다.

이은주 지음

李恩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경상북도 문화재위원,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비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논저로는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服飾』55권6호), 『17세기 무관옷 이야기』(공저, 민속원, 2005),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독자 의견
번호 도서 제목 댓글 글쓴이 작성일
1 왕실의 천지제사 - 김문식 외 5명 지음 / ...
조통 2015.11.30
미디어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