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사의 즐거움

17~19세기 유럽의 일상세계

위르겐 슐룸봄 지음 | 백승종, 장현숙 옮김

발행일 2003년 12월 5일
ISBN 8971991747 03920
면수 260쪽
판형 국판 148x210mm
가격 12,000원
분류 절판도서
주요 내용

17 ∼19세기 유럽 ‘보통 사람들’의 일상세계를 손에 잡히듯 구체적으로 경험하게 해주는 이 책은, 소작농민들의 삶을 분석하면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초기 미시사 연구의 성과뿐 아니라, 문화사적인 연구를 시도하면서 문학·사회학 ·심리학 등 인접 학문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는 미시사 연구의 새로운 경향을 접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해준다. 미시사 연구의 다양한 면모와 가능성을 보여주기에 손색이 없는 각 연구는 기존 거시사 연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격하고 분석적이다. 슐룸봄의 이러한 학문적 엄격함을 통해 근대 유럽이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 함몰되어 있는 소작농, 재단사, 미혼모와 같은 민중들의 ‘관계’와 삶의 ‘전략’이 부상하고, 단선적인 역사가 그 본래의 중층성을 회복하고 있다.

차례

편역자 머리말

1. 농민들은 과연 글을 쓸 줄 알았는가
: 18∼19세기 벨름 지역 농민들의 문자해독 능력에 관한 연구
벨름 교회공동체
사회계층별 서명 능력의 차이
농민들이 문서를 작성한 이유
문서화의 실제적 의미

2. 농가주인이 소작농을 다 잡아먹습니다
: 19세기 독일의 소작제도를 비판한 한 농민의 편지
소작농의 음성
부역의 내용
소작농이 가난한 이유
소작농 부어의 저항

3. 남의집살이, 계층 현상인가 통과의례인가
: 17∼19세기 유럽사회에 널리 퍼진 남의집살이 현상
하인과 하녀
오스나브뤼크 지역의 남의집살이
남의집살이는 계층 현상인가
남의집살이의 의미

4. 행동하는 존재, 소작농들의 삶의 전략
: 소작농민의 삶을 새롭게 읽어내는 미시사 연구
소작제도에 관한 기존 연구의 틈새
소작농과 농가주인의 관계
19세기 중엽 소작 관계의 안정성 문제
농촌에서의 혈연의 의미
세례식을 통한 사회적 연망의 확대
소작농의 삶의 전략

5. 마누라에겐 반한 적도 없었고 사랑을 느껴본 일도 없었다, 그래도 10명이나 되는 애들을 낳았다
: 자서전을 통해 본 18세기 어느 재단사의 내면세계
재단사 헨들러
실존 인물인가, 가상의 인물인가
재단사의 자서전 집필
재단사의 글쓰기 방식

6. ‘인성’의 탐구
: 경험심리학의 탄생으로 형상화된 인간 내면의 탐구
경험심리학의 창시자 모리츠
개인의 인격 형성기로서의 유년기
포켈스의 자서전
내면에 관한 경험적 연구

7. 누가 분만의 주체인가
: 병원 일지로 본 근대 유럽의 출산 문화
독일 최초의 산과 병원
병원장 오지안더가 쓴 『일지』
임산부에서 환자로의 전환
분만의 주체는 누구인가
임산부와 의사의 중층적 관계
환자들의 보이지 않는 저항

부록
위르겐 슐룸봄과의 대담
이 책의 전거
용어 풀이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위르겐 슐룸봄 지음

위르겐 슐룸봄

1970년대 후반, 슐룸봄은 막스-플랑크 역사연구소의 동료인 페터 크리테(Peter Kriedte), 한스 메딕(Hans Medick)과 더불어 농촌지역에서 발생한 가내수공업이 산업화 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녔는지를 연구한 『산업화 이전의 산업화. 자본주의 형성기 시골에서의 상업적 상품 생산』(1977)을 발표하여, 서구 역사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이는 1970년대 이탈리아를 비롯한 몇몇 나라에서 연구되고 있던 미시사와 궤를 같이하는 작업으로서 산업화에 대한 기존의 이론과 전혀 다른 새로운 연구 결과를 제시해주는 것이었다. 이때를 전후하여 그는 20여 년 동안 독일 북부지방에 있는 벨름 교회공동체에 관하여 미시사적 연구를 계속하였다. 주로 사회·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그의 연구 결과는, 『평생의 이력, 가족, 그리고 농토. 1650∼1860년 원형자본주의 시기 오스나브뤼크에 속한 벨름 교회공동체의 자영농민과 소작농』(1994)으로 일단 마무리되었다. 벨름에 관한 연구가 끝나자 슐룸봄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1990년대 중반부터 그는 출산의 역사를 비롯한 미시적 문화사 연구에 착수하였다. 그가 공동 편집자로 활약한 『출산 의례. 하나의 문화사』(1998), 『1750∼1900년간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학문』(1999) 및 『태어나지 못한 아기들의 역사』(2002) 등이 슐룸봄의 학문적 변신을 기록하고 있다.

백승종 옮김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독일 보쿰(Bochum)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사회사연구』(1996)를 비롯하여, 『아버지 난 누구예요』(2000), 『동독 도편수 레셀의 북한 추억』(2000), 『그 나라의 역사와 말』(2002), 『대숲에 앉아 천명도를 그리네』(2003) 등을 저술했다. 그밖에도 서구 미시사 이론을 소개하고 있는 『미시사와 거시사』(2001, 공역)를 번역했다.

장현숙 옮김

서강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독문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와 튀빙엔 대학교에서 독문학, 청소년문학 및 영문학을 공부했다. 『시편에 나타난 찬양과 탄식』(1997, 공역)을 비롯하여, 『미시사와 거시사』(2001, 공역), 『따귀 맞은 영혼』(2002), 『클라라와 함께 우린 모두 여섯 식구』(2003) 등을 번역했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