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시 일백수

송재소 옮김

발행일 2024년 5월 20일
ISBN 9791192836676 03810
면수 484쪽
판형 변형판 140x224, 소프트커버
가격 36,000원
한 줄 소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차시(茶詩) 113수를 번역하고 주석을 달고 해설하였다.
주요 내용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차시(茶詩) 일백수

 

― 차시(茶詩)는 차를 소재로 한 시이다.

차의 본고장이라 할 중국에서는 수천 년 동안 차를 소재로 시를 써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시대에 차가 들어온 이래 수많은 문인 학자가 차시를 써 왔다. 이렇게 오랜 기간에 걸쳐 수많은 사람이 차를 예찬하는 시를 쓴 것은 차를 단순한 기호식품 이상으로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차시 113수를 번역하여 주석과 해설을 달았다. 그리고 부록으로 「한국의 차 문화」와 「중국의 차 문화」를 수록했으며, 8편의 차 관련 글을 ‘참고’로 수록하여 차에 관한 다양한 글을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차’를 하나의 코드로 삼아 한국과 중국의 시들을 골라 읽으면 이들 사이의 영향과 문화의 공유 등을 볼 수 있는데, 차 문화로는 후발 주자인 한국은 대체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조선 후기에 오면 차가 우리만의 독자적인 문화로 자리잡았음을 볼 수 있다.

 

― 옛사람은 차를 마시면서 대략 두 가지의 효능을 경험한 듯하다.

첫째, 건강과 관련한 차의 효능이다. 차는 잠을 쫓고 숙취를 없앨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인식되었다. 조선 중기의 문인 조태채는 차가 인삼만큼 귀하다고 노래했다.

둘째, 차를 수양의 도구로 삼았다. 차를 마시면 정신이 맑아지면서 신선이 된 듯하다는 표현이 시에 자주 나온다. 특히 불교 승려들 사이에서 차가 성행했는데, 중국 선종(禪宗)의 6조인 혜능(惠能)이 승려의 수행을 돕는 도구로 차를 음용한 이래 차를 가꾸고 마시는 것을 일종의 구도(求道) 과정으로 여겼다. 이른바 ‘다선일미’(茶禪一味) 사상이 이루어졌다.

 

낮에는 한 사발 차

밤에는 한바탕 잠

푸른 산과 흰 구름이

함께 무생사(無生事)를 말하네

―휴정, 「천옥선자」 [이 책 106면 31번 시]

 

― 중국에는 일생을 바쳐 차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사람도 있고, 차가 좋아서 늘 차를 마시면서 예찬한 ‘차 마니아’도 많다. 청나라 건륭(乾隆) 황제는 차를 좋아해서 “임금에게는 하루라도 차가 없을 수 없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차시는 이렇게 차를 마시면서 느낀 정서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차가 대중화되지 못했고, 조선조 말까지도 일부 양반층과 승려들이 즐기던 음료였다. 중국에 비해 차 문화의 폭이 깊지 못하다. 물론, 지금은 차가 대중화된 기호품이지만, 대부분의 찻집이 커피를 판다. 차 한 잔 마시며 옛 선현의 마음공부를 배울 여유가 지금 사람들에겐 사치인 걸까.

 

 

한국의 차시 57수

 

― 이 책에는 57수의 한국의 차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규보, 서거정, 정약용, 초의 등이 쓴 대표적인 차시를 엄선해 번역하고 해설을 달았다.

 

―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차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고, 경덕왕(재위 742~765) 때 충담(忠談) 스님이 남산의 미륵불에 차를 공양하고 왕에게도 바쳤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시기에 차가 승려들 사이에서 음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에는 왕실 및 귀족과 승려 사이에서 차가 성행했다. 왕실에서 주관하는 연등회(燃燈會)와 팔관회(八關會) 그리고 왕자·왕비의 책봉식에서 진다(進茶) 의식을 거행했는데, 이를 관장하는 다방(茶房)이라는 관청을 만들 정도로 왕실에서 차가 중요시되었다. 민간에서 차 문화를 주도한 그룹은 승려들이었다. 불교 국가였던 고려 시대에 차가 성행했고, 승려들은 당시 최고의 차 전문가였다. 승려들이 직접 차를 재배한 것과는 별도로 사찰에 전문적으로 차를 공급하는 ‘다원’(茶園)도 있었다고 한다.

 

― 조선에서는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불교가 억압되자 사찰과 승려 중심으로 발전해 오던 차 문화가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궁중에서는 고려 때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각종 궁중 의식에 차를 사용했고, 중국에서 사신이 오면 차와 함께 찻잔 등의 차 도구를 선물로 주었다. 이러한 수요를 위해서 민간으로부터의 차 공납도 중단되지 않았다. 조선의 차 문화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크게 쇠퇴했지만, 승려와 양반 사대부를 중심으로 차 문화가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

 

― 18세기 조선에서 차 문화는 중흥기를 맞이한다. 면면히 이어오던 조선의 차 문화를 중흥시킨 인물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었다. 다산은 젊은 시절부터 차를 즐겨 마셨는데 강진 유배 시절에 만덕사 스님 혜장(惠藏)과 교유하면서 본격적으로 차를 연구하고 마시게 되었다. 다산이 강진에서 차에 깊이 빠진 것은 차의 풍미를 즐겨서라기보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다산은 혜장에게 『주역』을 가르쳐 주고 혜장으로부터 차를 배운 것이다. 다산이 혜장에게 차를 보내달라고 쓴 이른바 「걸명시」(乞茗詩)[이 책 149면 47번 시]는 너무나 유명하다.

 

들으니 석름봉(石廩峯) 아래

예로부터 좋은 차가 난다지

때는 마침 보리 말릴 시절이라

기(旗)도 펴고 창(槍) 역시 돋았을 터

궁하게 살면서 장재(長齋)가 습관 되어

누린내 나는 것 이미 싫어졌다오

꽃무늬 돼지고기, 닭으로 쑨 죽은

호사스러워 함께 먹기 어렵고

다만 근육이 땅겨 고통스럽고

때로는 술에 취해 깨지 못하니

기공(己公)의 찻잎을 빌려

육우(陸羽)의 솥에다 달였으면 하오

보시하여 이 병을 물리친다면

뗏목으로 물 건너 줌과 무어 다르랴

불에 덖어 말리기를 법대로 해 주오

그래야 우려낼 때 색이 곱겠지

―정약용, 「혜장 상인에게 부쳐 차를 빌다」

 

― 조선 후기 차 문화의 중흥조(中興祖)가 다산이라면 차 문화를 완성한 인물은 초의(艸衣) 스님이다. 승려인 초의는 일찍부터 차를 접해 왔겠지만 1809년 강진에서 다산을 만난 후 본격적으로 차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초의는 차 연구를 거듭하여 한국 차 문화사에 길이 남을 「동다송」(東茶頌)[이 책 161면 50번 시]을 저술하고 차의 걸작 ‘초의차’(艸衣茶)를 탄생시켰다.

 

― 한국의 다서(茶書)로는 이목(李穆)의 「다부」(茶賦), 김육(金堉)의 『유원총보』(類苑叢寶) 중 차와 관련된 고사와 용어를 중심으로 이름과 저술, 제도와 효능 등을 정리한 「음식문」(飮食門), 이덕리(李德履)의 「기다」(記茶),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차의 명칭, 차의 유래, 차의 종류, 명차와 생산지, 재배법, 차의 성질, 차 제조법, 보관법 등을 자세하게 기술한 「만학지」(晩學志),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중 차에 관해 정리한 「도다변증설」(荼茶辨證說), 「전과다탕변증설」(煎果茶湯辨證說), 그리고 초의(艸衣)가 1837년에 완성한 「동다송」 등을 들 수 있는데, 한국의 차 문헌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덕리의 「기다」와 초의의 「동다송」이라 하겠다.

 

 

 

중국의 차시 56수

 

― 중국은 차의 본고장인 만큼 문인이라면 누구나 차에 관한 시를 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백, 백거이, 두목, 소식, 주희, 황종희 등 수많은 문인들의 차시가 있다. 이들 작품 중 명작 56수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해설을 달았다.

 

― 우리나라 문인들이 특히 차시를 지을 때 전거로 든 작품이 노동(盧仝)의 시 「붓을 달려 맹 간의가 햇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이 책 295면 76번 시]인데, 송(宋)나라 범중엄(范仲淹)이 쓴 「장민 종사의 투다가에 화답하다」[이 책 339면 90번 시]와 함께 널리 알려진 차시(茶詩)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시는 일곱 잔의 차를 마시면서 느낀 감회를 서술한 부분이 압권으로, 이로 인하여 ‘칠완다가’(七碗茶歌)로 불리기도 한다. 또 시에 있어서 육우의 『다경』에 비견할 만하다고 하여 노동을 다성(茶聖) 육우에 다음가는 ‘아성’(亞聖)으로 부르기도 한다.

 

첫 잔은 목구멍과 입술을 적시고

둘째 잔은 외로운 시름을 깨치며

셋째 잔은 메마른 창자를 찾아가니 오천 권의 문자만 들어 있다네

넷째 잔은 가벼운 땀을 나게 해 한평생 불평사(不平事)를 모두 땀구멍으로 흩어 버리네

다섯째 잔은 살과 뼈를 맑게 하고

여섯째 잔은 선령(仙靈)과 통하며

일곱째 잔은 마시지 않아도 두 겨드랑에 맑은 바람 이는 것만 느낄 뿐

―노동, 「붓을 달려 맹 간의가 햇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 중에서

 

― 중국은 차의 종류만 해도 매우 많은데, 찻잎의 발효 정도, 찻잎을 따는 계절, 찻잎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한다. 일반적으로는 여러 기준을 종합해서 녹차(綠茶), 홍차(紅茶), 오룡차(烏龍茶), 백차(白茶), 황차(黃茶), 흑차(黑茶), 화차(花茶)의 일곱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7대 분류는 대개 차의 제조 방법에 그 기준을 둔 것이다. 이 책 부록으로 ‘중국의 차 문화’를 수록하여 중국 차의 분류 및 제조 과정을 자세하고 소개하는 한편, 저자가 직접 마신 다양한 맛과 향을 지닌 열 가지의 차를 소개하고 있다. 군산은침(君山銀針), 여산운무(廬山雲霧), 양선차(陽羨茶), 안길백차(安吉白茶), 호남 흑차(黑茶), 용정차(龍井茶), 황산모봉(黃山毛峰), 동정 벽라춘(洞庭碧螺春), 무이암차(武夷巖茶), 대홍포(大紅袍)가 그것인데, 차를 녹차와 홍차, 커피 정도로만 분류하는 우리와는 달리, 중국의 차 문화는 그 유래가 퍽 깊다.

차례

*
머리말

*
1부 한국의 차시

1. 운봉의 연로한 규 선사가 조아차를 얻어 나에게 보여 주기에 내가 유차라 이름 붙이고 시를 청하므로 지어 주다(雲峯住老珪禪師 得早芽茶示之 予目爲孺茶 師請詩爲賦之) 제1수 〔이규보〕
2. 차 맷돌을 준 사람에게 사례하다(謝人贈茶磨) 〔이규보〕
3. 엄 스님을 방문하다(訪嚴師) 〔이규보〕
4. 선사가 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謝禪師惠茶) 〔천책〕
5. 홍 합포가 귤과 차를 부쳐 준 것에 사례하다(謝洪合浦寄橘茶) 제2수 〔이곡〕
6. 차를 마신 뒤 짧게 읊다(茶後小詠) 〔이색〕
7. 차를 끓이다(點茶) 〔이색〕
8. 선차 이사백이 차를 보낸 것에 사례하다(謝弟李宣差師伯惠茶) 〔원천석〕
9. 스님이 차를 보낸 것에 사례하다(謝師送茶) 〔조준〕
10. 차 한 봉지와 안화사 샘물 한 병을 삼봉에게 주며(茶一封幷安和寺泉一甁 呈三峯) 〔이숭인〕
11. 백 안렴사가 차를 보내왔기에(白廉使惠茶) 제1수 〔이숭인〕
12. 백 안렴사가 차를 보내왔기에(白廉使惠茶) 제2수 〔이숭인〕
13. 박치암이 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謝朴恥菴惠茶) 〔이연종〕
14. 잠 상인이 작설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謝岑上人惠雀舌茶) 〔서거정〕
15. 달을 보며 차를 마시다(對月飮茶) 〔서거정〕
16. 진원 박 태수가 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謝珍原朴太守寄茶) 〔서거정〕
17. 은 냄비에 차를 끓이며(銀鐺煮茗) 〔홍유손〕
18. 차를 읊다(詠茶) 〔유호인〕
19. 가섭암(迦葉庵) 〔조위〕
20. 홀로 앉아 차를 끓이다 매계에게 드리다(獨坐煎茶 奉呈梅溪) 제1수 〔정희량〕
21. 밤에 앉아 차를 달이며(夜坐煎茶) 〔정희량〕
22. 차를 마시다(飮茶)〔이목〕
[참고] 이목의 ‘차의 다섯 가지 공(功)’ 〔이목〕
[참고] 이목의 ‘차의 여섯 가지 덕(德)과 다인(茶人)’ 〔이목〕
23. 공석 김세필이 작설차를 보내 주었기에(公碩金世弼 以雀舌茶見餉) 제2수 〔이행〕
24. 공석 김세필이 작설차를 보내 주었기에(公碩金世弼 以雀舌茶見餉) 제5수 〔이행〕
25. 공석 김세필이 작설차를 보내 주었기에(公碩金世弼 以雀舌茶見餉) 제7수 〔이행〕
26. 대숲에서 차를 달이다(竹塢煎茶) 〔이행〕
27. 가을날의 차꽃(秋日茶花) 〔이정〕
28. 한 정사의 「옥류천을 맛보고」에 차운하여(次韓正使嘗玉溜泉韻) 〔정유길〕
29. 차를 끓이다(瀹茶) 〔노진〕
30. 행주선자에게 보이다(示行珠禪子) 〔휴정〕
31. 천옥선자(天玉禪子) 〔휴정〕
32. 『다경』을 읽고(讀茶經) 〔구봉령〕
33. 암 선백에게(贈巖禪伯) 〔선수〕
34. 고 흥양과 이별하며(別高興陽) 〔유근〕
35. 눈 녹인 물로 차를 달이다(雪水煎茶) 〔이준〕
36. 차를 마시다(飮茶) 〔이수광〕
37. 소나무 아래서 차를 달이다(松下煎茶) 〔강항〕
38. 화당에서의 낮잠(花堂晩睡) 〔김류〕
39. 눈 녹인 물로 차를 달이다(雪水煎茶) 〔조희일〕
40. 객지에서 즉흥적으로 쓰다(寓居卽事) 〔신민일〕
41. 우통수를 길어 차를 달이다(取于筒水煎茶) 〔이민구〕
42. 차를 마시다(飮茶) 〔하진〕
43. 동파의 「전다」 운에 차운하다(次東坡煎茶韻) 〔정태화〕
44. 황혼 녘에 차를 달이다(薄暮煎茶) 〔임상원〕
45. 차를 읊다(詠茶) 〔조태채〕
46. 중봉의 「낙은사」에 화답하다(和中峰樂隱詞) 〔유일〕
47. 혜장 상인에게 부쳐 차를 빌다(寄贈惠藏上人乞茗) 〔정약용〕
48. 혜장이 나를 위하여 차를 만들었는데 마침 그의 문도 색성이 나에게 준 것이 있다고 해서 보내 주지 않았으므로 원망하는 말로써 마저 주기를 요구했다(藏旣爲余製茶 適其徒賾性有贈 遂止不予 聊致怨詞 以徼卒惠) 〔정약용〕
[참고] 정약용의 ‘혜장에게 차를 청하는 글’ 〔정약용〕
49. 엄산 현재덕 옹이 내국에서 숙직을 하면서 몸소 차를 끓이기를 날마다 하였다. 때때로 나에게 차를 보내오기에 시를 지어 사례한다(弇山玄翁在德 於內局直中 躬自煎茶 日以爲常 有時饋我 作此詩以謝之) 〔박윤묵〕
50. 동다송(東茶頌) 〔초의〕
51. 차를 받고 사례하다(謝茶) 〔김명희〕
52. 차를 구걸하는 시(乞茗詩) 〔황상〕
53. 섣달 눈 녹인 물로 차를 달이다(臘雪水烹茶) 〔홍현주〕
54. 찻물을 따르다(挹茶) 〔이상적〕
55. 죽로차(竹露茶) 〔이유원〕
56. 다가(茶歌) 〔각안〕
57. 다구명(茶具銘) 〔각안〕

부록 한국의 차 문화

*
2부 중국의 차시

58. 집안 조카인 중부 스님이 옥천사의 선인장차를 준 것에 답하다(答族侄僧中孚贈玉泉仙人掌茶) 〔이백〕
59. 서탑사 육우다천(西塔寺陸羽茶泉) 〔배적〕
60. 서하사에서 차를 따러 가는 육우를 배웅하며(送陸鴻漸栖霞寺采茶) 〔황보염〕
61. 중양절에 육우 처사와 차를 마시다(九日與陸處士羽飮茶) 〔교연〕
62. 육우 처사를 방문하다(訪陸處士羽) 〔교연〕
63. 음다가를 지어 최석 사또를 꾸짖다(飮茶歌誚崔石使君) 〔교연〕
64. 조거와 다연을 갖다(與趙筥茶宴) 〔전기〕
65. 장손씨 댁에서 낭 스님과 다회를 갖다(過長孫宅與郞上人茶會) 〔전기〕
66. 노래(歌) 〔육우〕
67. 정원에 차가 자라는 것을 기뻐하다(喜園中茶生) 〔위응물〕
68. 서산 난야에서 차를 마시다(西山蘭若試茶歌) 〔유우석〕
69. 차를 맛보다(嘗茶) 〔유우석〕
70. 밤에 가상주와 최호주가 다산 경회정에서 연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夜聞賈常州崔湖州茶山境會亭歡宴) 〔백거이〕
71. 자고 난 후 다흥이 일어 양동주를 생각하네(睡後茶興憶楊同州) 〔백거이〕
72. 한가로운 잠(閑眠) 〔백거이〕
[참고] 유정량의 「차의 열 가지 덕」(茶十德) 〔유정량〕
73. 손 상인이 대숲 사이에서 친히 햇차를 따서 보내왔으므로 시로 사례한다(巽上人以竹間自采新茶見贈酬之以詩) 〔유종원〕
74. 햇차를 요청하다(乞新茶) 〔요합〕
75. 친구가 차를 보내오다(故人寄茶) 〔이덕유〕
76. 붓을 달려 맹 간의가 햇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走筆謝孟諫議寄新茶) 〔노동〕
77. 다산(題茶山) 〔두목〕
78. 봄날 다산에서 병들어 술을 마실 수 없기에 손님들에게 드린다(春日茶山病不飮酒因呈賓客) 〔두목〕
79. 지주 임천사 금벽동에 노닐며(遊池州林泉寺金碧洞) 〔두목〕
80. 서릉도사 다가(西陵道士茶歌) 〔온정균〕
81. 용산인이 석름 방차와 단차를 보내오다(龍山人惠石廩方及團茶) 〔이군옥〕
82. 다인(茶人) 〔피일휴〕
83. 차를 달이다(煮茶) 〔피일휴〕
84. 차를 달이다(煮茶) 〔육구몽〕
85. 산 샘물에 사례하다(謝山泉) 〔육구몽〕
86. 중 상인이 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謝中上人寄茶) 〔제기〕
87. 차를 맛보다(嘗茶) 〔제기〕
88. 용봉차(龍鳳茶) 〔왕우칭〕
89. 차를 노래하다(咏茶) 〔정위〕
90. 장민 종사의 투다가에 화답하다(和章岷從事鬪茶歌) 〔범중엄〕
91. 백공의 「스스로 햇차를 만들다」에 화답하다(和伯恭自造新茶) 〔여정〕
92. 차를 마시며 공의에게 화답하다(嘗茶和公儀) 〔매요신〕
93. 쌍정차(雙井茶) 〔구양수〕
[참고] 허차서의 「차 마시는 때」(飮時) 〔허차서〕
94. 장화중이 보운차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謝張和仲惠寶雲茶) 〔왕령〕
95. 강물을 길어 차를 달이다(汲江煎茶) 〔소식〕
96. 황노직이 시와 함께 쌍정차를 보내왔기에 그 시에 차운하여 사례하다(魯直以詩饋雙井茶次其韻爲謝) 〔소식〕
97. 조보가 보내 준 학원에서 만든 햇차에 차운하다(次韻曹輔寄壑源試焙新茶) 〔소식〕
98. 차나무를 심다(種茶) 〔소식〕
99. 쌍정차를 자첨에게 보내며(雙井茶送子瞻) 〔황정견〕
100. 건차 얻은 것을 기뻐하다(喜得建茶) 〔육유〕
101. 육일천 물로 쌍정차를 달이다(以六一泉煮雙井茶) 〔양만리〕
[참고] 양만리의 ‘미외지미’(味外之味) 〔양만리〕
102. 강왕곡 수렴(康王谷水簾) 〔주희〕
103. 서역에서 왕군옥에게 차를 청하다(西域從王君玉乞茶) 〔야율초재〕
[참고] 문진형의 ‘차의 효용’ 〔문진형〕
104. 찻잎을 따다(采茶詞) 〔고계〕
105. 애다가(愛茶歌) 〔오관〕
106. 다협명(茶夾銘) 〔이지〕
[참고] 풍가빈의 ‘차 마시기 알맞은 경우’(茶宜) 〔풍가빈〕
107. 실제(失題) 〔진계유〕
108. 여요 폭포차(餘姚瀑布茶) 〔황종희〕
109. 무이다가(武夷茶歌) 〔석초전〕
110. 죽지사(竹枝詞) 〔정섭〕
111. 용정에 앉아서 차를 달이며 우연히 짓다(坐龍井上烹茶偶成) 〔애신각라 홍력〕
112. 찻잎 따는 노래(采茶歌) 〔진장〕
113. 무이차를 노래하다(咏武夷茶) 〔육정찬〕

부록 중국의 차 문화

*
찾아보기[인명·작품 원제]

지은이·옮긴이

송재소 옮김

1943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영문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고 『다산문학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정년을 맞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퇴계학연구원 원장이자 다산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학문과 문학 세계를 알리는 데 오랫동안 힘써 왔고, 우리 한문학을 유려하게 번역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지은 책으로 『당시 일백수』 『주시 일백수』 『다산시 연구』 『한시 미학과 역사적 진실』 『주먹바람 돈바람』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한국 한시 작가 열전』 『시로 읽는 다산의 생애와 사상』 『중국 인문 기행』(1~3), 옮긴 책으로 『다산시선』 『다산의 한평생』 『역주 목민심서』(공역) 『한국의 차 문화 천년』(공역) 등이 있다.

 

2002년 제3회 다산학술상 대상, 2015년 제5회 벽사학술상을 수상했다.

편집자 100자평
송재소 교수는 『당시 일백수』(2021), 『주시 일백수』(2022)를 집필하고, 이어서 이 책 『차시 일백수』를 집필함으로써, 한국과 중국 및 동아시아가 공유하는 주요한 문화 코드 .당시(唐詩), 술[酒], 그리고 차(茶)를 다룬 ‘일백수 3부작’을 완성하였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미디어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