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의 혼례식 풍경

신병주, 박례경, 송지원, 이은주 지음

발행일 2013년 1월 14일
ISBN 9788971995181 04900
면수 268쪽
판형 국판 148x210mm
가격 22,000원
분류 왕실문화총서
한 줄 소개
조선 왕실의 가장 아름다운 축제, 혼례식. 옷차림부터 절차까지 왕실 혼례식의 전모를 속속들이 들여다 보다
주요 내용

조선 왕실의 혼례식의 전모를 속속들이 들여다 본 책. 혼례식은 조선 왕실의 의례 가운데 최고의 경사였으며 축제적 성격이 가장 큰 행사였다. 왕조국가의 최고 권력자이자 왕실의 두 주인공인 왕과 왕비의 결혼은, 두 남녀의 결합이라는 측면보다 이를 통해 후손을 생산하여 왕통을 잇는다는 정치적, 역사적 의미가 더 컸다. 이 책은 행사를 기록한 다양한 사료 및 문헌과 현전하는 시각자료, 최근 활발히 재연되고 있는 왕실 결혼식 행사의 생생한 현장 기록 등을 총동원하여, 왕실의 계승과 존속을 위한 조선 최대의 행사이자 왕실문화의 역량이 총합된 화려한 축제였던 조선 왕실 혼례식의 전모를 충실히 보여주고 있다.

차례

책머리에

제1부 왕실 혼례식의 연원과 비교사적 고찰

1 혼례식의 연원과 의미
혼례식의 연원|혼례의 대의大義|유교 경전인 『의례』의 혼례 절차와 의미들|『의례』 「사혼례」의 주요 의식 절차와 상징적 의미들|사대부의 혼례와 왕실의 혼례|『주자가례』「혼례」에 보이는 사대부 계층의 혼례의식

2 고려시대의 혼례식
고려 왕실의 혼례식|고려시대 사서인士庶人의 혼례식|고려 왕실 혼인의 특징

3 중국 왕실의 혼례
친영을 중시한 한漢 이전의 왕실 혼례|하례賀禮(축하의식)를 인정한 한漢 왕실의 혼례|전통적인 『의례』를 중시한 위진魏晉, 남북조南北朝 및 수隋의 왕실 혼례|왕실 혼례의 의주儀注를 완비한 당唐의 왕실 혼례|황제의 ‘천자납후’天子納后 의례로 본 명明의 왕실 혼례

제2부 왕실 혼례식의 구성 요소

1 금혼령과 간택
금혼령과 처녀단자 납입|『한중록』에 기록된 간택

2 별궁의 활용
별궁에서의 왕비 수업|별궁(어의궁)의 위치

3 육례의 절차

4 음악과 의장
혼례식의 음악|혼례 반차도의 악대|반차도

제3부 조선 왕실의 시기별 혼례식

1 조선 왕실 혼례식의 개관
2 15세기 왕실 혼례식
3 조선 중․후기 왕실 혼례식
4 의궤를 통해 본 왕대별 혼례식
인조 대의 혼례식 |효종 대의 혼례식 |현종 대의 혼례식|숙종 대의 혼례식|영조 대의 혼례식|순조 대의 혼례식|헌종 대의 혼례식|철종 대의 혼례식|고종 대의 혼례식|황태자 순종의 혼례식

제4부 조선 왕실의 지위별 혼례식

1 왕, 왕세자, 왕세손의 혼례식

2 국왕의 혼례식;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혼례식의 두 주인공, 영조와 정순왕후|혼례식의 주요 절차와 내용|반차도를 통해 본 친영 행렬

3 왕세자의 혼례식;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혼례식의 두 주인공, 소현세자와 소현세자빈 강씨|소현세자 혼례식의 과정|반차도에 나타난 친영 행렬

4 왕세손의 혼례식; 『정조효의왕후가례청의궤』를 중심으로
혼례식의 주인공, 정조와 효의왕후|혼례식의 주요 과정|반차도에 나타난 친영 행렬

제5부 조선 왕실의 혼례복

1 혼례복, 왕실의 장엄함과 위엄
2 세 번의 간택 절차와 처녀들의 복식
초간택 복식|재간택 복식|삼간택 복식|삼간택 후 별궁에 갈 때의 복식

3 납채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면복|조복과 흑단령|공복|왕비의 집에서 납채를 받는 의식과 참여자 복식

4 납징의식과 참여자 복식
원유관복|왕비의 집에서 납징을 받는 의식(王妃第受納徵)

5 고기의식 참여자들의 복식
왕비의 집에서 고기를 받는 의식(王妃第受告期儀)

6 책비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적의|왕비가 책명을 받는 의식(王妃受冊儀)

7 친영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친영할 때 궁을 나갔다 돌아오는 의식

8 동뢰연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9 조현례와 참여자들의 복식

부록
-조선 역대 왕들의 혼인과 당시의 지위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신병주 지음

申炳周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외규장각 도서 자문포럼위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 전문위원, 조선시대사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공저, 돌베개, 2005), 『조선 중, 후기 지성사 연구』(새문사, 2007),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책과함께, 2007), 『이지함 평전』(글항아리, 2008), 『조선평전』(글항아리, 2011) 등이 있다.

박례경 지음

朴禮慶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진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남녀유별의 해석」(『철학과 현실』 77, 2008),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동양철학연구』 54, 2008),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송지원 지음

宋芝媛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정조의 음악정책』(태학사, 2007), 『옛 음악인 이야기: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태학사, 2009),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추수밭, 2010), 『조선 전문가의 일생』(공저, 글항아리, 2010),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이은주 지음

李恩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경상북도 문화재위원,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비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논저로는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服飾』55권6호), 『17세기 무관옷 이야기』(공저, 민속원, 2005), 『왕실의 천지제사』(공저, 돌베개, 2011) 등이 있다.

독자 의견
번호 도서 제목 댓글 글쓴이 작성일
1 왕실의 혼례식 풍경 - 신병주, 박례경, 송지...
조통 201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