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교실

김고연주 엮음 | 수신지 그림 | 최현희, 최지은, 김고연주, 태희원 외 5인 지음

발행일 2019년 3월 29일
ISBN 9788971999301 44300
면수 212쪽
판형 변형판 142x200, 소프트커버
가격 12,000원
분류 구르는돌
수상∙선정 2019 월간 책씨앗 선정도서
2020 청소년북토큰도서
한 줄 소개
혐오의 시대…… 페미니즘이 십대들의 안부를 묻는다
주요 내용

“혐오와 막말이 놀이가 된 우리 교실, 이대로 괜찮을까?”
학교, 대중문화, 연애, 꾸밈노동, 군대, 미투운동……
청소년이라면 알아야 할 지금, 여기, 페미니즘 이야기

이 책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혐오의 세상을 페미니즘이라는 혁신적인 렌즈를 통해 이해하고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무엇보다 여러분의 다양한 일상과 구체적인 고민을 담고 함께 나누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제목은 ‘교실’이지만, 일방적으로 기성세대가 가르치고 현재 세대가 배우는 것은 페미니즘이 아니지요. 기성세대가 현재 세대에게 보내는 ‘소통을 위한 말 걸기’입니다.
_‘들어가며’ 중에서

『페미니즘 교실』은 혐오와 막말이 놀이가 된 교실로 걸어 들어가, 지금 이 순간 청소년들이 보고 겪는 삽화들을 불러내는 페미니즘 교양서다. 타인을 향한 혐오가 넘쳐나는 이 시대에 청소년들이 안녕하고 행복한지, 지금 이대로 괜찮다고 생각하는지, 거친 말과 행동 이면에 숨겨 놓은 다른 속내는 없는지 묻는다.
이 책을 만든 이들은 열 명의 페미니스트다. 서울시 젠더자문관이자 『나의 첫 젠더 수업』의 저자 김고연주가 엮은이이자 지은이로(3장 ‘사랑과 연애’ 등), 『며느라기』의 작가 수신지가 그린이로 참여했다. 이 밖에 마중물 선생님 최현희(1장 ‘학교’), 『괜찮지 않습니다』의 저자 최지은(2장 ‘대중문화’),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연구원 태희원(4장 ‘꾸밈 노동’), 명지대 객원교수 김엘리(5장 ‘군대’),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책임연구원 김보화(6장 ‘미투 운동’ 등), 여성학 연구자 김애라(7장 ‘또래 문화’), 인권 활동가 나영정(8장 ‘LGBTI’), 서울대 강의교수 김수아(9장 ‘온라인 문화’)가 저마다 전문 분야의 첨예한 페미니즘 이슈를 청소년 눈높이로 설명한다.
이 책은 페미니즘의 개념과 역사를 소개하는 개론서가 아니다. 지금 이 순간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또래들 사이에서, 스마트폰과 인터넷과 티비에서 빈번히 보고 겪는 사례들을 놓고, ‘왜’냐고 질문하고 ‘다르게 생각해 보자’고 제안한다.
저자들은 이야깃거리를 제한하거나 에돌려서 말하는 대신 폭넓은 이슈들의 정곡을 짚는다. 십대들의 일상을 덮친 여성혐오와 소수자혐오, 십대들과 무관하지 않은 데이트폭력, 꾸밈 노동과 탈코르셋, 미투운동과 스쿨미투, 혐오를 분출하는 샘이 되어 버린 군대, 성차별을 전파하고 강화하는 대중문화, 온라인을 기반으로 폭주하는 안티페미니즘, 가해자·피해자·주변인으로서 성폭력에 대처하는 방법 등,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페미니즘 이슈들을 제한 없이 다룬다. 청소년들이 그저 보호해야 할 대상이거나 아직은 뭘 몰라도 되는 미성숙체가 아니라 “현재를 함께 살며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존재라고 믿기 때문이다.
이 책은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과 근심에서 출발했다. 일베로 대변되는 극단적인 문화 속에 청소년들을 내버려 둘 수 없다는 절박함과 오늘의 현실을 만든 기성세대로서의 책임감이 갈피마다 담겨 있다. 저자들은 청소년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분노와 억울과 슬픔과 좌절을 다독이면서, 페미니즘의 힘으로 혐오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가자고 권유한다. 페미니즘에 따라붙는 남성혐오 논란과 역차별 주장, 페미니즘이 다툼을 조장한다는 마타도어를 걷어 내고, 페미니즘이 정말 지향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려준다.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렌즈를 끼고 함께 모험을 떠나자고 손 내미는 이 책을 청소년들은 물론 청년들과 부모 세대 모두에게 권한다.

페미니즘과 자신의 거리는 여러분이 정하는 것입니다. ‘빨리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할 텐데’라고 조급해할 필요도,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나?’ 하고 부담스러워할 필요도 없어요.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마음 내키는 대로 하면 됩니다. 자신의 정체성은 스스로 만드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성평등, 다양성, 인간의 존엄성 등 페미니즘의 지향은 누구에게나 평생의 화두일 것입니다. 페미니즘은 그 길에서 언제나 여러분의 곁에 있을 겁니다.
_200~201쪽(나오며 ― 페미니스트, 넌 누구니?)

상세이미지

차례

들어가며
1장. 학교: 페미니즘이라는 모험을 함께(최현희, 교사)
2장. 대중문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사라지는 여자들(최지은, 『괜찮지 않습니다』 저자)
3장. 사랑과 연애: 내 것이 아닌 존재와의 만남과 이별(김고연주, 서울시 젠더자문관)
4장. 꾸밈 노동: 꾸며야 사는 여자, 손을 씻지 않는 남자(태희원,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연구원)
5장. 군대: 여자도 군대 가라?(김엘리, 명지대 객원교수)
6장. 미투운동: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김보화,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책임연구원)
7장. 또래 문화: 차별과 혐오가 ‘노잼’인 교실 상상하기(김애라, 여성학 연구자)
8장. LGBTI: 성소수자 혐오에 함께 맞서야 하는 이유(나영정, 인권 활동가)
9장. 온라인 문화: 혐오와 폭력은 온라인을 타고(김수아, 서울대 강의교수)
나오며. 페미니스트, 넌 누구니?(김고연주, 서울시 젠더자문관)
부록. Q&A, 성폭력에 대처하는 법(김보화,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책임연구원)

지은이·옮긴이

김고연주 엮음

대학원에 진학해 여성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면서 김고연주가 되었다. 연구하고 강의하고 책을 쓰다가 2017년부터 서울시 젠더자문관으로 일하고 있다.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한 지 어언 20년이 되어 가지만 여전히 페미니스트로 살기 어렵다. 그래도 요즘처럼 힘이 날 때가 없었다. 페미니즘의 부상 덕분에 서울시 안팎에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변화가 반갑고 놀랍고 고마울 따름이다. 지은 책으로 『길을 묻는 아이들』, 『조금 다른 아이들 조금 다른 이야기』, 『우리 엄마는 왜?』, 『나의 첫 젠더 수업』,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공저) 등이 있다.

수신지 그림

최현희 선생님의 ‘초등학교 운동장’ 관련 글을 신문에서 읽고, 어릴 때부터 페미니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에 그림을 그렸다. 변화하는 세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그러니까 내가 더 잘 살기 위해서라도 페미니즘을 알아야 한다고 믿는다. 대학에서 서양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을 공부했으며, 글과 그림으로 만들 수 있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만화책 『3그램』, 『스트리트 페인터』, 『며느라기』를 펴냈으며, 여러 그림책의 일러스트를 작업했다.

최현희 지음

페미니스트 교사라고 다 좋은 교사는 아니겠으나, 페미니스트 교사가 아니면서 좋은 교사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오늘도 불편한 학교에서 불편하게 살고 있다.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를 함께 썼다.

최지은 지음

멋진 사람들과 재미있는 이야기에 가까이 다가가고 싶어 대중문화 기자가 되었고 10년 동안 열심히 일했다. 하지만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를 기점으로 그동안 멋지고 재미있다고 생각한 것들을 전부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기자를 그만둔 뒤 한국 대중문화와 페미니즘에 대한 책 『괜찮지 않습니다』를 썼고, 전보다 불편하지만 여전히 재미있게 살고 있다.

김고연주 지음

대학원에 진학해 여성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면서 김고연주가 되었다. 연구하고 강의하고 책을 쓰다가 2017년부터 서울시 젠더자문관으로 일하고 있다.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한 지 어언 20년이 되어 가지만 여전히 페미니스트로 살기 어렵다. 그래도 요즘처럼 힘이 날 때가 없었다. 페미니즘의 부상 덕분에 서울시 안팎에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변화가 반갑고 놀랍고 고마울 따름이다. 지은 책으로 『길을 묻는 아이들』, 『조금 다른 아이들 조금 다른 이야기』, 『우리 엄마는 왜?』, 『나의 첫 젠더 수업』,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공저) 등이 있다.

태희원 지음

일상에서 페미니즘을 실천하는 방법들을 고민하며 티격태격 사는 좌충우돌 페미니스트. 십대의 까르륵 웃음소리와 근거 없는(?) 당당함, 뜬금없이 따뜻한 배려를 사랑한다. 이들의 생기로움이 제약받지 않는 세상을 꿈꾸면서 성차별적인 환상과 싸우는 용기를 내고 일을 하며 글을 쓴다. 지금은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성형』, 『엄마도 아프다』(공저), 『성·사랑·사회』(공저) 등이 있다.

김엘리 지음

여성단체에서 일했다. 페미니즘 관점으로 평화를 이론화하고 싶어 여성학과에 진학했는데 어느새 여성학 박사가 되었다. 지금은 대학과 시민단체에서 여성학과 평화학을 강의한다. 쓴 책으로 『그런 남자는 없다』(공저), 『나의 페미니즘 레시피』(공저), 『페미니즘, 리더십을 디자인하다』(공저), 『여성의 삶과 문화』(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여성, 총 앞에 서다』,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공역)가 있다.

김보화 지음

여성학 석사 학위 논문으로 성폭력 가해자들이 자신의 가해 행위를 어떻게 ‘정당화’하고 ‘피해자화’하는지를 분석했다. 현재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에서 ‘파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 사회에 큰 변화를 가지고 온 ‘미투운동’의 의미와 사회적 책임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 『스스로 해일이 된 여자들』(공저), 『그럼에도, 페미니즘』(공저)이 있다.

김애라 지음

어른이 되고 나서도 늘 십대들의 성장소설이나 성장 드라마에 끌렸고, 대학원에 들어가면서부터는 본격적으로 십대들과 놀고, 시간을 보내고, 또 이들을 연구했다. 십대 여성들의 디지털노동에 관한 연구로 여성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디지털 공간의 페미니스트 주체들에 관해 연구 중이다. 이화여대, 서강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여성학을 강의했다. 쓴 책으로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공저),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공저),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공저) 등이 있다.

나영정 지음

성소수자·장애여성·HIV/AIDS 인권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소수자의 관점과 페미니즘이 결합될 때 차별과 억압에 맞설 수 있는 강력한 방법과 실천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쓴 책으로 『수신확인, 차별이 내게로 왔다』(공편저), 『페미니스트 모먼트』(공저), 『어쩌면 이상한 몸』(공저), 『배틀그라운드』(공저) 등이 있다.

김수아 지음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의 언론정보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로 있다. 대중문화와 페미니즘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쓴 책으로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지금 여기 힙합』(공저) 등이 있다.

편집자 100자평
청소년들 사이에 만연한 여성혐오/소수자혐오와 여전히 공고한 성차별/성폭력 문제에 대해 기존 책들보다 좀 더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피부에 와닿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 열 명의 페미니스트들이 '지금 이 순간, 필요한 책'이라는 절박한 마음을 담아 함께 쓰고 그렸다. 이 책이 질문을 낳고 대화로 이어지길 빈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미디어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