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차 문화 천년 7

승려의 차 문화

송재소, 조창록, 이규필

발행일 2014년 12월 29일
ISBN 9788971996447 94810
면수 262쪽
판형 신국판 152x225mm, 양장
가격 18,000원
분류 고전 단행본, 한국의 차 문화 천년
한 줄 소개
신라의 승려 교각으로부터 근현대의 승려 정호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승려들의 차 문화
주요 내용

우리나라 차(茶) 문화의 시작과 끝, 승려의 차 문화

이 책은 ‘한국의 차 문화 천년’ 시리즈의 일곱 번째 권으로,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약 천백여 년 동안 승려들이 기록한 차 문화 관련 글을 정리·번역한 것이다. 한국의 차 문화는 불교와 함께 성쇠를 같이했으며, 사찰은 그 맥을 잇는 장소였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차를 연구한 모로오카(諸岡存)와 이에이리(家入一雄)는 한국의 차 문화가 일본이나 중국처럼 민간 문화로 크게 확대되지 않은 이유를 조선의 물 때문이라고 말했다.(『朝鮮の茶と禪』)
“좋은 물이 귀한 중국에서는 차가 국민 보건의 측면에서 절대적인 필수품이었지만, 수질이 좋은 조선에서는 사정이 달랐다. 이를테면 대동강 물도 평양 근방의 상류는 특히 깨끗해서 수돗물보다 훨씬 좋다. 세균 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찻물에 알맞고 빨래에는 더욱 알맞다. 조선인이 흰옷을 즐겨 입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한다. ……왕실에서 음용된 것을 제외하면 그 명맥을 뚜렷이 보여주는 것은 사찰에서 승려들이 향유한 차 문화였다.”<한국의 차 문화 천년 6-근현대의 차 문화> 참조

차 문화를 향유한 승려들이 남긴 시문과 행적은 현재 일부를 제외하곤 일반에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한국의 차 문화 천년> 시리즈는 조선후기(1, 2권), 삼국시대·고려(3권), 조선초기(4권), 조선중기(5권), 근현대(6권)까지의 시대별 고찰을 마무리하고, 마지막 7권으로 ‘승려의 차 문화’를 따로 엮었다.
이 책에 수록한 인물은 신라의 교각(喬覺)으로부터 고려의 의천(義天), 조선의 기화(己和), 보우(普雨), 휴정(休靜), 약탄(若坦), 각안(覺岸), 근대승 정호(鼎鎬) 등 모두 57인에 이른다. 이중에서 고려의 승려로는 혜심과 충지, 조선의 승려로는 보우·각안·보정 등이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보정은 80여 편의 차시(茶詩)를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혜장(惠藏)과 의순(意恂: 법호 초의草衣)은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등과 함께 <한국의 차 문화 천년> 시리즈의 조선후기 편(1, 2권)에 미리 수록했으므로 여기서는 제외했다.

 

구도(求道)의 한 방편, 차(茶)를 마시는 승려들

승려의 시나 게송(偈頌), 일화를 보면 늘 차를 마시는 장면이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중국 당나라의 선승(禪僧) 조주(趙州)가 ‘끽다거’(喫茶去)라고 한 일화이다. 조주는 늘 가르침을 청하는 제자들에게 “차나 한잔 마시게”(喫茶去)라고 했다 한다. 승려들은 차를 마시는 행위를 선(禪)의 한 방편으로 인식했다. 그래서 많은 승려들의 시에 차를 마시는 이야기가 있고, 특히 조주의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고려의 승려인 무의자(無衣子) 혜심이 쓴 「차샘」(茶泉)이라는 시를 보면,

묵은 이끼 속으로 솔뿌리 뻗고
돌구멍엔 시원한 샘물 솟누나.
호쾌한 방편을 얻기 어려워
조주(趙州)의 선(禪)을 몸소 잡아 보노라.

라고 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조주의 선 즉 ‘차’를 달여 마시노라고 하였다.
또 다른 고려의 승려 경한(景閑)의 시 「가장 중요한 의리는」을 보면 조주 선사의 화두(話頭)를 시의 주요 소재로 삼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의리는
이글거리는 화로에 눈꽃이 떨어지는 것과 같다.
이러한 가운데 차를 내오는 사람이 있다면
유나(維那)가 하필 한 방망이만 내리치겠는가?
그럼에도 차를 내오려는 사람이 있는가?
나오너라! 나오너라!

승려는 차 마시는 행위뿐 아니라 차나무를 경작하면서도 그 속에서 불법의 묘를 깨달았다. 다음의 시가 그것이다.

차나무는 아무도 부른 사람 없건만
보살들이 찾아와서 산차(山茶)를 따네.
초목은 터럭 하나 움직이지 않지만
본체와 작용이 당당히 어긋나지 않네 _혜근, 「차를 따며」

이처럼 구도(求道)의 한 방편으로서 차 문화는 불가에서 그 맥을 이어 왔으며, 현재도 여전히 차 문화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불교 의식으로서의 차(茶) 문화

우리는 흔히 명절 아침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茶禮)라고 말한다. 국어사전에 ‘신세다례’(新歲茶禮)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바로 새해에 지내는 차례를 의미한다. 그러니 원래 차례는 ‘다례’라고 읽는 게 맞다. 그렇다면 차례는 지금처럼 갖가지 음식을 조상에게 올리는 성대한 예식이 아닌, 어쩌면 차 한 잔 올리는 조촐한 예식이었는지 모르겠다. 조선 시대에 임금이 중국 사신을 대접하던 상(床)을 다례상이라고 불렀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중국 사신이 들어왔을 때 모두 “행다례”(行茶禮)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조선 시대의 승려 각안의 시 「다가」(茶歌)를 보면, “공자의 사당에 잔을 올려 참신(參神)하고, 석가의 법당에 정갈하게 공양하네”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유불(儒彿)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 전체에게 차(茶)는 의식의 하나로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의 승려 기화는 진산(珍山) 스님의 영전에 아래와 같은 게송을 지어 올렸다.

한 잔의 차는 한 조각 마음에서 나왔고
한 조각 마음은 한 잔의 차에 담겼네.
부디 이 차 한 잔 맛보소서
맛보시면 무량의 즐거움 생길지니.

불가에서는 음력 3월 3일에 해당하는 삼짇날에 부처님께 차 공양을 올린다. 『삼국유사』 경덕왕(景德王) 충담사 표훈대덕조(忠談師表訓大德條)에는 승려 충담(忠談)이 해마다 삼짇날과 중굿날(重九日. 음력 9월 9일)에 경주 남산 삼화령(三花嶺)의 미륵세존께 차를 달여 공양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처럼 불교와 차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일본인 모리 다메조(森爲三, 1884~1962)의 기록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에 보림사, 다보사, 백양사, 송광사 등 전라도 지역 사찰에 다수의 차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백련사와 보림사에는 차밭이 남아 있다.

 

완성된 차의 품격, 초의의 차(茶)

각안의 시 중에 「초의차」라는 것이 있는데 그 전문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비 막 갠 곡우 날 / 펴지지 않은 연록빛 찻싹을

솥에 살짝 덖어 내어 / 밀실에서 잘 말리네.

측백나무 틀로 모나거나 둥글게 찍어 내어 / 죽순 껍질로 포장하네.

바깥바람 들지 않게 단단히 간수하니 / 찻잔 가득 차 향기 감도네.

위 시는 초의 선사가 입적한 뒤 그가 만든 차를 간직해 두었다가 달여 마시며 지은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초의차’는 덖고 말리고 포장하는 방법에 있어 하나의 완성된 품격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초의 선사의 이름이 붙은 고유한 차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책 마지막 근현대의 승려 정호의 「옥보대 아래 다풍이 크게 무너지다」를 보면, 초의 선사의 「동다송」을 인용하여 다풍(茶風)이 크게 무너졌음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보면, 조선의 차 문화는 ‘초의’에 와서 하나의 정점을 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 차는 달리 약재를 구하기 힘든 산속 암자의 승려들에게 좋은 약이었다. 각안의 「다약설」(茶藥說) 등 여러 승려의 기록을 보면 차를 약으로 복용하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기관지가 안 좋거나 이질에 걸렸을 때 차를 달여 먹어 효험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긴긴 밤 수행을 하며 잠을 쫓기 위해 차를 마시기도 했다.

차례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승려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일러두기

교각 하산하는 동자를 보내며

의천 차와 약을 내려 주신 것에 감사하며 올린 표문 | 농서학사가 「임천사를 생각하며」라는 시를 보내왔기에 차운하여 화답하다 | 어떤 사람의 시에 화운하여, 차를 준 것에 감사하다 | 어떤 사람이 차를 보내왔기에 화답하다

요일 물러나기를 청하며

혜심 정 낭중을 전별하며 | 대혼 스님이 차를 얻으러 와서 시를 청하기에 | 차샘 | 인월대 | 방장실에서 선사를 모시고 설차를 달이며 | 전물암에 깃들여 살며 | 코 | 차와 정해문을 보내온 것에 답하여 | 백운암에 이르러

천인 옥주의 서 스님에게 부치다

천책 선사가 차를 보내 주심에 사례하여

충지 난송 선사 인공의 운을 따라 답함 | 한가한 가운데 우연히 쓰다 1 | 다시 규봉 인공이 월헌 강 박사에게 준 시의 운을 따라 | 새 붓을 시험하느라 손 가는 대로 게송 한 편을 써서 시자에게 주다 | 병중에 | 어떤 선객에게 답하다 | 금장 대선사가 보내 준 햇차에 감사하며 | 산에 살며 | 한가한 가운데 우연히 쓰다 2 | 병중에 홀로 앉아 회포를 쓰다 | 앞 시의 운을 써서 암자에서 지내는 즐거움을 읊다 | 산중의 즐거움 | 최이가 보낸 차와 향에 감사하며 | 박량 최 선사 제문

경한 가장 중요한 의리는

보우 상당 법어 중에서

혜근 나옹 화상 행장 중에서 | 차를 따며 | 누더기 노래 | 영주가

굉연 유선암에 쓴다

기화 두 스님의 영전에 올리는 게송 | 산중의 맛

보우 10월 13일, 눈을 보고 짓다 | 은 법사의 시에 차운하여 | 숭 스님의 시에 차운하여 | 명·웅 두 벗에게 | 선정을 끝내고 가슴에 둔 생각을 써서 중국에 사신 가는 정조계 대감에게 바치다 | 흥에 겨워 | 달밤에 소쩍새 울음을 듣고 | 한밤에 동자의 솥 씻는 소리를 듣고 | 취선에게 | 세심정에서 견성암을 바라보며 시를 지어 수종사의 준 스님에게 보이다

휴정 향로봉에 노닐다 | 두류산 은적암에서 | 행주 선자에게 보이다 | 도운 선자 | 천옥 선자 | 감로차를 올리다

일선 대둔사에 제하다 | 옛 절

선수 고 수재의 시에 차운하다 | 산거잡영 | 암 선백에게 | 송운에게 보내다

유정 병자년 가을, 가야산을 유람하다 | 회답사를 보내면서 | 지호 선백에게 드리다 | 선소의 시에 차운하다 | 원길의 시에 차운하여

인오 돌 침상

태능 조주의 차를 읊다

언기 법륜 총섭의 시에 차운하다

충휘 늦봄, 안심사를 유람하다 | 백운암 | 삼가 용운 김 판서의 시에 차운하여 | 신안 스님에게 드리다 | 혜천 스님에게 드리다 | 삼가 오산 차 교리의 시에 차운하다 | 천진대에서 대제학 계곡 장유 상공에게 드리다

수초 차운하여 현재 스님에게 주다 | 선을 묻는 산승에게

명조 정 동지의 시에 차운하다

현변 상당 및 육색의 축원문

처능 비에 발이 묶여, 삼가 백헌 상공께 드리다 | 봄날, 임 스님에게 보내다 | 차운하여 정 수재에게 주다 | 회문체를 본떠 | 일언에서 십언까지

현일 천장암 | 표훈사

성총 유거 | 차운하여 | 봄을 보내며 | 은자의 노래 | 황령의 난야에 적다

도안 은자의 노래 | 다시 8수를 차운하여

명찰 묘경의 시에 차운하여 | 남대

추붕 혜량에게 주다 | 희안에게 주다 | 취 율사의 운에 따라 | 차운하여 대방 사미에게 주다

지안 유거

자수 미륵암 | 오언 봉요체를 써서 벗에게 주다 | 두타승 도규에게

약탄 옥천 장실께서 보내온 시에 차운하다

법종 문화 아객 윤중회의 시에 차운하여

나식 폭포

새봉 청암 혜연 대사께 주다

해원 해인 스님에게 | 백양산 | 풍악에 대한 만시

시성 설송 장로의 시에 차운해 돈수 대사에게 보내다

의민 판서 권엄이 내연산을 유람하며 지은 시에 삼가 차운하다

최눌 제야에 | 무자년 3월 초닷새날 밤의 꿈 | 징광사의 운을 따서

팔관 보덕굴

취여 보림사

유일 중봉의 「낙은사」에 화운하여 | 석옥 화상의 시 「산중의 네 가지 몸가짐」에 화운하여 | 사창 김사백 형제가 보내준 시에 차운하여

의첨 서 주서의 시에 차운하여

정훈 영화당 유인의 시축에서 차운하여

긍선 다게

혜즙 백련 결사의 운을 따서 양 수재에게 주다 | 또 초의 화상에게 드리다

선영 유 아무개, 이 아무개 등 여러 선비의 시에 차운하다

치능 이 대아를 이별하며

각안 석옥 화상의 「산거시」에 차운하여 | 김금사에게 화답함 | 강매오의 시운을 따서 | 안 산림에 대한 만시 | 운포 이 사백의 시운을 따서 | 쾌년각에 쓰다 | 수상 규태가 남암에서 지은 시에 화답하다 | 참외를 얻고 감흥이 생겨 | 다가 | 초의차 | 건제체 | 만일암 | 보운각에 다시 들어와 | 다약설 | 다구명 | 서산대사 영각의 다례에 시주를 모금하는 글 | 허 선달에게 답함

심여 석옥 화상의 「산거잡시」에 차운하여 | 경오년 8월, 해남의 김·허 등 여러 유생과 더불어 임 자 운에 화답하여 읊다

혜견 이 시에는 특별히 염미가 있기 때문에 붓을 잡고 다시 적는다 | 삼일암에 올라 | 화초를 심고 차를 마시다

법린 석양에 쌍계루에 올라 벗들과 읊조리다

보정 서불암의 늦봄 | 다암 화상과 등불 아래에서 수창하다 | 대운 은자를 방문하다 | 차를 끓이며 1 | 석별 | 술회 | 종 스님과 원 스님을 보내며 | 금강산으로 가는 호 스님과 문 스님을 보내며 | 국천을 방문하여 | 대지전 | 산에 살며 부질없이 읊다 | 석실 선사의 「산거잡영」에 삼가 차운하다 | 5월에 수석정 개울가에서 세 벗이 술을 마시며 | 인오 장실과 차를 마시며 | 비온 뒤 햇차를 따며 | 여흥을 한가로이 읊다 | 허원응이 마련한 다회에 참석하여 | 산에 사는 흥취 | 팔경 | 중림의 학생이 산으로 돌아왔기에 | 동짓날 | 다송명 | 이 빠진 날의 소감 | 차를 끓이며 2 | 차를 만들어 갈무리하며

치익 통도사에서

진종 쌍계 죽로차

정호 관음사에 이틀을 머물며 | 운교장을 방문하여 | 이난곡이 대원산방에 내방했기에 함께 읊다 | 『담연시고』에 쓴 시 | 난곡 거사에 대한 만사 | 옥보대 아래 다풍이 크게 무너지다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송재소

1943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영문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고 『다산문학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정년을 맞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퇴계학연구원 원장이자 다산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학문과 문학 세계를 알리는 데 오랫동안 힘써 왔고, 우리 한문학을 유려하게 번역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지은 책으로 『당시 일백수』 『주시 일백수』 『다산시 연구』 『한시 미학과 역사적 진실』 『주먹바람 돈바람』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한국 한시 작가 열전』 『시로 읽는 다산의 생애와 사상』 『중국 인문 기행』(1~3), 옮긴 책으로 『다산시선』 『다산의 한평생』 『역주 목민심서』(공역) 『한국의 차 문화 천년』(공역) 등이 있다.

 

2002년 제3회 다산학술상 대상, 2015년 제5회 벽사학술상을 수상했다.

편집자 100자평
이 책은 ‘한국의 차 문화 천년’ 시리즈의 일곱 번째 권으로,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약 천백여 년 동안 승려들이 기록한 차 문화 관련 글을 정리·번역한 것이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