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야담 1

千년의 우리소설 9

박희병, 정길수 지음

발행일 2013년 9월 30일
ISBN 9788971995709 04810
면수 204쪽
판형 국판 148x210mm, 양장
가격 12,000원
분류 千년의 우리소설
한 줄 소개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을 고스란히 담아내다!
주요 내용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을 고스란히 담아내다!

이 책에 실린 열다섯 편의 작품은 조선 후기에 창작된 야담계소설(野譚系小說)이다. ‘야담계소설’이란 ‘야담’이 소설로 전화(轉化)한 것, 다시 말해 민간에서 구연(口演)되던 시정(市井)의 이야기가 한문으로 기록되면서 소설로 성립한 작품들을 가리킨다.
야담계소설은 17세기 후반에 성립하여 18세기에 대대적으로 발전해 갔으며, 19세기 전반기에는 『청구야담』(靑邱野談)과 같은, 야담계소설을 집대성한 작품집이 출현하기에 이르렀다.
야담계소설은 한문으로 적혀 있으나 종종 구어체 분위기가 느껴지고 문체도 소박한 편이다. 이야기의 흔적이 남아 있기 때문인데, 이 점은 화려한 문체의 전기소설(傳奇小說)과 비교할 때 두드러진다. 한편 시정의 이야기인 만큼 소재가 다양하고 각계각층의 인물이 등장하는 가운데 서민의 소망을 표현한 작품이 많아 조선 후기 서민 생활의 단면을 살피는 데도 도움이 된다.

차례

이절도사가 궁할 때 가인을 만나다 / 염의사가 풍악에서 신령한 중을 만나다 / 치산을 해 허생이 부를 이루다 / 네 친구 / 영남의 가난한 선비 / 갖바치 / 아내를 찾아 / 효부와 호랑이 / 과부 / 선천 기생 / 바뀐 신랑 / 부부의 10년 맹약 / 좋은 사람 / 송씨 양반이 궁할 때 옛 종을 만나다 / 생금을 얻어 부자가 다시 한집에 살다

지은이·옮긴이

박희병 지음

경성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국문학 연구의 외연을 사상사 연구와 예술사 연구로까지 확장함으로써 통합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연구를 꾀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고전인물전연구』,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한국의 생태사상』, 『운화와 근대』, 『연암을 읽는다』, 『21세기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저항과 아만』, 『연암과 선귤당의 대화』, 『나는 골목길 부처다-이언진 평전』, 『범애와 평등』, 『능호관 이인상 서화평석』, 『통합인문학을 위하여』 등이 있다.

박희병의 다른 책들

정길수 지음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구운몽 다시 읽기』 『17세기 한국소설사』, 편역서 『길 위의 노래―김시습 선집』 『나는 나의 법을 따르겠다―허균 선집』, 논문 「전쟁, 영웅, 이념」 등이 있다. 한국 고전소설과 한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독자 의견
서평 쓰기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